근로기준법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근로자명부 | <포함내용>
1. 성명
2. 성별
3. 생년월일
4. 주소
5. 이력(履歷)
6. 종사하는 업무의 종류
7. 고용 또는 고용갱신 연월일, 계약기간을 정한 경우에는 그 기간, 그 밖의 고용에 관한 사항
8. 해고, 퇴직 또는 사망한 경우에는 그 연월일과 사유
9. 기타 특이사항
※근무기간 30일 미만 일용근로자 제외 | 근로자가 해고되거나 퇴직 또는 사망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포함내용>
1. 임금에 관한 사항
- 구성항목·계산방법·지급방법·산정기간·지급시기
2. 상여 등 각종 수당
3. 소정근로시간 (업무 시작·종료시각, 휴게시간)
4. 유급휴일 (주휴일)
5. 연차유급휴가
※기간제·단시간 근로자 포함 모든 근로자 대상 | 근로관계가 끝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
<포함내용>
1. 성명
2. 생년월일, 사원번호 등 근로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
3. 고용 연월일
4. 종사하는 업무
5. 임금 및 가족수당의 계산기초가 되는 사항
6. 근로일수
7. 근로시간수
8. 연장근로, 야간근로 또는 휴일근로를 시킨 경우에는 그 시간수
9. 기본급, 수당, 그 밖의 임금의 내역별 금액(통화 외의 것으로 지급된 임금이 있는 경우에는 그 품명 및 수량과 평가총액)
10. 임금 공제 내역 | 마지막으로 써 넣은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
임금의 결정 · 지급방법과 임금계산의 기초에 관한 서류 | 급여에 관한 규정 등 회사 내부에서 정한 서류 | 작성을 완료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사직원, 해고예고 및 해고에 관한 통지서 등 | 근로자가 해고되거나 퇴직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
승진, 승급에 관한 통지서 등 | 작성을 완료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
휴가에 관한 서류 | 연차유급휴가 관리대장, 연차유급휴가 사용 신청서, 노무수령거부통지서, 연차유급휴가 사용촉진통지서 등 | 작성을 완료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유연근로제 · 근로시간특례 · 휴가사용 등에 관한 노사합의서 | 시행을 위해 노사합의가 필요한 제도 (3개월 이내 탄력적근로시간제, 3개월 초과 탄력적근로시간제, 선택적근로시간제, 특별연장근로, 휴일대체 등) | 서면 합의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연소자 증명 서류 | 취직인허증 (15세미만 근로자)
가족관계증명서 ·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동의서 (15세이상 18세미만 근로자) | 18세가 되는 날
(18세가 되기 전에 해고되거나 퇴직 또는 사망한 경우에는 그 해고되거나 퇴직 또는 사망한 날) | 3년 |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퇴직근로자의 사용증명서 | 근로자의 경력 증명 등에 관한 정보 | 근로자 퇴직일 | 3년 |
회사 분할, 합병 시 근로계약서의 보존 의무자는 누구인지?
법인의 분할, 매각 등으로 인한 고용관계 변동 시 기존 고용관계가 종료되고 새로운 고용관계가 시작되는 경우라면 기존 회사에게 서류 보존 책임이, 기존의 고용관계를 포괄적으로 승계하는 경우에는 고용관계를 승계한 회사에 서류 보존 책임이 있다고 할 것이나,
구체적인 서류 보존 책임 여부는 회사 분할이나 매각의 경위와 동기, 당시 고용관계에 대한 양 회사 간의 계약이나 합의 사항, 고용관계 서류 이전 여부, 당시 근로자에 대한 고용관계 관련 설명 내용, 이후 사정 변경 등 개별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 (근로기준정책과-3793, 2020.9.21.)
연차유급휴가 서류 보존 기간의 기산점(작성을 완료한 날)이 언제인지?
「근로기준법」상 연차유급휴가는 과거 근로에 대한 휴식의 기회를 제공하는 측면과 과거 근로에 대한 보상적 측면이 모두 고려된 제도라 할 것이므로, 그 보존기간의 기산점은 연차휴가의 부여 및 사용, 미사용수당의 정산 등 일련의 과정을 모두 완료한 날로 보아야 할 것 (근로기준정책과-3116, 2022.10.5.)
근로자파견법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파견사업관리대장
(파견사업주 대상) | <포함내용>
1. 파견근로자의 성명
2. 사용사업주 및 사용사업관리책임자의 성명
3. 파견근로자가 파견된 사업장의 명칭 및 소재지
4. 파견근로자의 파견기간
5. 파견근로자의 업무내용 | 근로자파견이 끝난 날 | 3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근로자파견사업의 허가를 취소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영업정지를 명할 수 있음 |
사용사업관리대장
(사용사업주 대상) | <포함내용>
1. 파견근로자의 성명
2. 파견사업주 및 파견사업관리책임자의 성명
3. 파견근로자의 파견기간
4. 파견근로자의 업무내용 | 근로자파견이 끝난 날 | 3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남녀고용평등법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모집과 채용에 관한 서류 | 채용 공고 등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임금, 임금 외의 금품 등에 관한 서류 | 급여에 관한 규정 등 회사 내부에서 정한 서류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교육 · 배치 및 승진 등에 관한 서류 | 교육 실시 자료, 배치 발령 관련 내부 규정 등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정년 · 퇴직 및 해고에 관한 서류 |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등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직장 내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 관련 서류 | 교육 참가자 명단, 교육실시 일시 · 장소 기재서류 등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에 대한 징계등 조치에 관한 서류 | 징계 통지서 등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모성보호 제도 실시 관련 서류 | 배우자 출산휴가의 청구 및 허용 · 육아휴직의 신청 및 허용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의 신청 및 허용 및 허용하지 아니한 경우 그 사유의 통보 및 협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중의 근로조건에 관한 서류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고충접수 · 처리대장 | 고충접수 신청서 등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퇴직금 중간정산에 관한 서류 | 퇴직금 중간정산 사유에 따른 증빙서류 | 근로자 퇴직일 | 5년 | - |
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률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노사협의회 회의록 | <포함내용>
1. 개최 일시 및 장소
2. 출석 위원
3. 협의 내용 및 의결된 사항
4. 그 밖의 토의사항 | 작성한 날 | 3년 | - |
장애인고용법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직장 내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실시 관련 자료 | 교육 참가자 명단, 교육실시 일시 · 장소 기재서류 등 | 3년 | 300만원 이하 과태료 |
채용절차법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지원자가 제출한 응시원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학위증명서, 경력증명서, 자격증명서 등 기초심사자료에 기재한 사항을 증명하는 모든 자료, 작품집, 연구실적물 등 구직자의 실력을 알아볼 수 있는 모든 물건 및 자료
※상시 30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
※불합격한 구직자의 서류 限 | 구직자의 채용 여부가 확정된 날 | 14일 이후부터 180일까지
※이 기간동안 구직자는 서류 반환 요구 可 | 500만원 이하 과태료 |
산업안전보건법
구분 | 내용 | 기산일 | 보존기간 | 위반 시 제재 |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조사에 관한 서류 (안전보건규칙 657조) | 유해요인 기본조사표
근골격계질환 증상 조사표
개선계획 및 결과보고서 | 작성일 | 5년
※설비에 관한 서류는 작업장 내 설비가 존재하는 기간동안 보존 | - |
안전보건관리책임 · 안전관리자 · 보건관리자 · 안전보건관리담당자 및 산업보건의의 선임에 관한 서류 (164조)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회의록 (24조) | <포함내용>
1. 개최 일시 및 장소
2. 출석위원
3. 심의 내용 및 의결ㆍ결정 사항
4. 그 밖의 토의사항
(시행령 37조) | 작성일 | 2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위험성평가 실시 및 조치 (36조) | <포함내용>
1. 위험성평가 대상의 유해 · 위험요인
2. 위험성 결정의 내용
3. 위험성 결정에 따른 조치의 내용
4. 그 밖에 위험성평가의 실시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사항
(시행규칙 37조) | 작성일 | 3년 | |
산업재해 발생 (57조) | <포함내용>
1. 사업장의 개요 및 근로자의 인적사항
2. 재해 발생의 일시 및 장소
3. 재해 발생의 원인 및 과정
4. 재해 재발방지 계획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도급인과 수급인을 구성원으로 하는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 회의록 (64조) | <포함내용>
1. 작업의 시작 시간
2. 작업 또는 작업장 간의 연락방법
3. 재해발생 위험이 있는 경우 대피방법
4. 작업장에서의 법 제36조에 따른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
5. 사업주와 수급인 또는 수급인 상호 간의 연락 방법 및 작업공정의 조정
(시행령 79조) | 작성일 | - |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명세서 (72조)
(건설공사도급인 대상) | 본사 안전전담부서에서 산업재해의 예방을 위하여 법령에 규정된 사항의 이행에 필요한 비용에 관한 명세서
(시행규칙 89조)
※4천만원 이상 공사 限 | 건설공사 종료 후 | 1년 간 |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
안전 및 보건에 관한 협의체 회의록 (75조) | <포함내용>
1. 개최 일시 및 장소
2. 출석위원
3. 심의 내용 및 의결 · 결정 사항
4. 그 밖의 토의사항
(시행령 65조) | 작성일 | 2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안전인증에 관한 서류 (84조) | <포함내용>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별 제품명 · 모델명 · 제조수량 · 판매수량 및 판매처 현황 등의 사항
(시행규칙 112조) | 작성일 | - | |
자율안전기준에 관한 서류 (89조) |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 등이 자율안전기준에 맞는 것임을 증명하는 서류 | 작성일 | - | |
자율안전검사 결과에 관한 서류 (98조) | 자율안전검사를 받은 경우, 그 결과에 대한 기록 | 작성일 | - | |
신규화학물질의 유해성 · 위험성 조사보고서 (108조) | 화학물질의 유해성 · 위험성 조사에 관한 서류
(164조)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중대한 건강장해 우려 화학물질의 유해성 · 위험성 조사보고서 (109조) | 화학물질의 유해성 · 위험성 조사에 관한 서류
(164조)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건강진단표 (129-131조) | 일반건강진단 결과표, 특수 · 배치전 · 수시 · 임시건강진단 결과표
(164조) | 작성일 | 5년
※유해물질 취급자 서류는 30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물질안전보건자료 교육에 관한 서류 (법 114조, 시행규칙 169조) | 교육시간 및 내용 등을 기록하여 보존 | 작성일 | - | |
석면조사 (119조) | <포함내용>
1.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에 석면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
2. 해당 건축물이나 설비 중 석면이 포함된 자재의 종류, 위치 및 면적 | 작성일 | - | |
작업환경측정에 관한 서류 (125조) |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기록한 서류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법정서식 有 | 작성일 | 3년 |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
작업환경측정 결과 보고에 관한 서류 (법 188조) |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기록한 서류 | 작성일 | 5년
(시행규칙 241조)
※유해물질 기록 서류는 30년 | |
기계등을 대여하는 자는 해당 기계등의 대여에 관한 사항 (시행규칙 103조) | 해당 기계등의 대여에 관한 사항
※법정서식 有 | 작성일 | ||
지도자 보수교육 (시행규칙 231조) | 1. 보수교육 이수자 명단
2. 이수자의 교육 이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작성일 | 5년 | |
지도자 연수교육 (시행규칙 231조) | 1. 연수교육 이수자 명단
2. 이수자의 교육 이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작성일 | 3년 |
서류 보존 방법
서류 보존을 반드시 “종이”로 된 문서로만 하여야 하는지
반드시 종이로 된 서류로 보존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보안이 철저한 시스템 상에 파일 형태로 보존하는 방법도 가능 (근기 68207-2666, 2002. 8. 8. 회시)
update 2022.5.26 by lee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