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장기성과급 (LTI)

LTI 유형

과거 스톡옵션을 많이 활용하였으나, 최근 장기성과에 연동한 현금 또는 주식보상 방식을 도입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음

국내 임원 LTI Trend

국내 그룹사는 대부분 Stock Option을 활용하다 폐지 또는 중단하였으며, 대안으로 장기성과 연동 현금보상 방식이 증가하는 추세
장기성과급을 부여하는 대기업 대부분에서 주로 ‘장기성과연동 현금보상(Performance Unit)’ 방식을 활용하고 있으며, 일시 지급보다는 이연 분할 지급하는 추세를 나타냄
장기성과급의 활용 목적은 장기성과 drive, 핵심임원 retention, 주주가치 제고 등이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장기성과 drive에 초점을 두고 있음

장기성과급 Vehicle 유형

장기성과급은 지급방식에 따라 주식기반과 현금기반 보상으로 구분되며, 일반적으로 주식매수선택권, 양도조건부 제한주식, 장기성과 연동 주식/현금보상이 활용
[참고] 장기성과급 유형별 특징
관점별 특징
ⓛ Stock Option
② Restricted Stock
③ Performance Share
④ Performance Unit
회사관점/ 장점
행사가격 이상의 주가 초과상승을 유도하여 주주가치 연계성 우수 Vesting을 활용, 우수인재 확보, 장기 목표 달성 유도
주식(제한부) 부여에 따라 주주가치 연계성 우수 일정기간 동안의 우수인재 유지/확보에 효과적
주주가치와의 연계성 우수 경영성과목표 달성에 대한 동기부여 효과
경영성과목표 달성에 대한 동기부여 강함 주식지급에 따른 희석효과(Dilution) 없음
회사관점/ 단점
주가하락에 대한 risk를 임원은 부담하지 않음 임원성과와 무관한 시장에 따른 지나친 보상 우려 희석효과(Dilution)
임원성과와 무관한 시장에 따른 지나친 보상 우려 주가 상승에 대한 동기부여 효과는 스톡옵션보다 낮음 국내에서 활용도 낮음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장기성과 목표 수립이 어려움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장기성과 목표 수립이 어려움 임원의 성과와 주주가치와의 연계성이 약함
당사자(임원) 관점 / 장점
주가상승에 대한 보상효과 (Upside Potential) 탁월 Vesting 된 Option에 대한 행사시점 선택가능
증시 침체 시에도 일정 부분 보상효과 존재
증시 침체 시에도 일정 부분 보상효과 존재 성과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주식을 지급받지만, 주가 변동에 따른 보상변동 가능
증시 침체와 무관한 보상 존재 성과 달성수준에 따라 사전에 약정된 현금을 지급받게 되어 보상에 대한 예측 가능성 높음
당사자(임원) 관점 / 단점
주식시장 장기 침체 시 보상효과가 낮음
보상의 Line-of-Sight 제한적
성과목표 미달 시 보상 제한적
성과목표 미달 시 보상 제한적
① Stock Option
Stock Option(주식매수선택권)은 행사가격 이상으로 주가가 상승했을 경우 행사 당일 주가와 행사가격과의 차액만큼을 보상 받게 되는 주식기반의 장기성과급
② Restricted Stock
Restricted Stock(양도제한 조건부 주식)은 Full value를 제공하여 Retention & Ownership을 향상시키고, 주가 정체 또는 하락 시에도 보상 효과가 존재
③ Performance Share
Performance Share(장기성과연동 주식보상)은 평가기간 동안의 성과달성 정도에 따라 일정 수의 주식을 지급하는 제도
④ Performance Unit
Performance Unit(장기성과연동 현금보상)은 평가기간 동안의 성과달성 정도에 따라 현금을 지급하는 제도

RSU (제한조건부 주식)이란 ?

최근 도입이 증가하는 추세인 RSU (Restricted Stock Units)주로 실리콘밸리 등 미국 기업들이 시행하는 성과보상 제도로 국내 대기업 중 한화그룹이 처음 도입한 후 점차 증가하는 추세
RSU는 주식을 부여한 뒤, 일정기간 이후에 매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보상방식, 스톡옵션이 주식을 매입할 권리를 주는 것이라면 RSU는 실제 주식을 부여하는게 가장 큰 차이
RSU는 특정 베스팅 날짜에 도달할 때까지 직원이 실제로 주식을 소유하지 않기 때문에 "제한”
즉, 직원이 일정 기간 동안 회사에 남아 있거나 회사가 특정 성과 목표를 달성하는 것과 같은 특정 제한이나 조건이 주식에 적용
베스팅 조건이 충족되면 RSU는 직원이 판매하거나 보유할 수 있는 실제 주식으로 전환됨
Stock Option VS RSU
Stock Option
RSU
부여 절차
정관 및 주주총회 특별결의
이사회 결의
부여 대상
임직원에게만 가능
제한 없음
행사 기간
최소 2년 이상
제한 없음
행사 가격
시가 및 액면금액 중 높은 금액 (무상지급 불가)
제한 없음 (무상지급 가능)
스톡옵션과 비교하여 RSU의 장점은 ▲절차가 간소하고, ▲부여 대상에 제한이 없으며, ▲최소 행사기간이 없고, ▲무상제공이 가능하다는 점
update 23.02.20 by siy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