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보상설계 개선 사례

보상설계 방향성

주요 이슈
보상구조
관리직/생산직 급여체계 혼동
성과주의보다 연공중심의 보상구조
보상의 기준 및 결정요소 불명확
기본급
성과/역량 등의 균형적 반영 미흡
우수인재에게 매력적이지 못한 기본급 체계
성과급
제한된 보상의 기회
성과에 따른 차등 보상 부족
전사성과와 개인성과의 연계성 부족
보상설계 방향성
조직의 보상전략 수립
성과주의 급여체계 정립
복잡한 임금구조 단순화
보상 구조의 기준 및 정책 명확화
직무 역할 중심의 보상제도 설계
직무 및 역할 특성에 적합한 보상전략 구체화
성과에 따른 차등보상 강화
조직 및 개인의 성과에 따른 차별 폭 확대
성과주의 강화 및 보상의 효과를 극대화한 제도 설계

직급 & 보상체계 분석 및 설계 방향성에 기초한 To-Be Image 개발

생산현장 관리직의 경우, 업무적으로는 일반생산직과 유사하지만 시급제를 적용할 경우 잔업수당으로 인하여 같은 직급의 일반관리직과 급여 차등이 발생
따라서, 현재 생산직이라도 주임 이상은 일반관리직에 준한 급여체계를 적용하고 있어 혼란 및 불만을 발생시킴
생산직과 관리직의 직급체계를 분리하여 운영하고, 그에 따라 보상체계를 달리 가져감
관리직은 전 사원 연봉제로 전환함
생산직은 기사까지 시급제를 적용, 주임 이상 직급부터는 월급제를 적용함
기장, 기감, 기성 직급은 관리 역량 및 T/O를 고려하여 생산직 팀장으로 보임 가능하며, 팀장 보임 시 연봉제 적용

보상구조 Option 비교분석

성과가급
기준급을 기준으로 개인별 성과에 따라 기 결정된 지급율 적용
연간 성과가급을 1/12로 해서 매월 지급함(비누적)
기본급
직급별로 동일한 기본급과 기준급을 설정하여 지급
기준급은 성과가급의 비중 결정하는 기준이 됨
개인 성과 및 역량 반영 안됨
최소 생활 보장 목적
諸수당
동일한 기준을 가지고 동일한 조건인 사람들에게 지급하는 항목임
고정적인 성격의 수당을 능력급에 포함

To-be 보상체계 요약

As-is
To-be
기본연봉
_ 직급과 연차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기본급이 고정 되어 있고, 근속년수가 상승하면 기본급이 동일하게 상승하는 구조임
_ 연차에 관계없이 직급별 단일 기본급, 직급별 동일 Base-up _ 각 직급 내에서는 역할과 책임수준이 동일하다고 보는 관점 _ 기본연봉은 기본급과 기준급으로 구성됨
변동연봉
_ 성과에 따라 성과가급 추가로 지급 A 등급 : 성과급의 20% B 등급 : 성과급의 10% _ 평가에 따라 매년 지급액이 다름
_ As-is와 같은 방식으로 성과가급 지급 용어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성과급을 기준급으로 변경 기존의 호봉상승분을 성과가급 재원으로 활용하여 차별화 폭을 크게 할 수 있음 평가에 따라 매년 지급액이 다름(비누적식)
운영방식
_ 성과에 상관없이 기본연봉 수준은 매년 상승하게 되고, 성과가급을 통해 그 해 성과에 따른 금액을 지급하는 방식
_ 직급별 기본급은 고정해서 지급 _ 성과가급을 비누적식으로 운영해 매년 성과에 따라 연봉금액이 달라질 수 있는 방식

To-be 기본 연봉체계

As-is 기본연봉 체계
Option 1 기본연봉 체계
직급별 근속년수에 따라 일정 금액 상승하는 호봉테이블 구조 유지
급여상승률을 제외한 매년 호봉상승분 만큼 급여가 상승하여 지속적인 인건비 부담 존재
직급별 단일 기본급, 직급별 동일 Base-up
각 직급 내에서는 역할과 역량 수준이 동일하다고 보는 관점
기본연봉은 기본급과 기준급으로 구성됨
Band 구분하여 운영
관리직 8개 직급을 그대로 유지한 채 부장,차장,과장 직급은 체류년수를 고려하여 2개의 Band로 구분하여 운영
호봉테이블이 없어지고, 직급별 단일급으로 운영
장기적으로 체류년수가 길어지는 직급이 발생하거나 직급 간 기본연봉 격차가 크게 발생하는 구간에서 Band를 나누어 운영할 필요 존재

기본급 인상방식

기본급의 인상은 ‘연간 인상률 적용’과 ‘승진 인상률 적용’이 있음
연간 기본급 인상률
승진 시 기본급 인상
승진 Pay Band 이동 시 급여인상 여부
Band 간 상향이동
승진자와 비승진자 간의 급여 차이 발생을 통해 승진에 대한 의미 부여 및 직원들의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음
직급 간 Pay Band의 Overlap 구간이 좁아질 가능성이 높음
승진에 대한 Needs 증대로 인한 Issue 발생 가능성 존재
Band 간 수평이동
‘성과 중심형 인사시스템’의 본질에 좀더 접근한 방식임
‘승진’의 중요성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현실 하에서, 직원들의 심리적 반발이 있을 수 있음
기존 직원에 대해서는 이미 승진한 직원과의 내적 형평성 문제로 인해 큰 폭의 승진 효과를 보전하여야 함

성과가급 운용방안

성과가급은 기준급을 기준으로 개인별 성과에 따라 결정된 지급률을 적용하여 지급
update 2023.03.13 by Lily Ji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