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보상제도 Benchmarking

보상제도 Benchmarking 종합

보상 구조의 단순화, 인사/보상 전략에 기반한 보상 제도 운영, 그리고 조직 성과 연계 인센티브 제도 운영 등의 주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음
보상 구조의 단순화
국내 기업들은 기존의 복잡한 급여 구조를 기본급과 인센티브의 단순화된 급여 체계로 통합하고 있음
이를 통해 직원들의 이해를 쉽게 하고, 동기 부여 효과를 강화함
인사전략/보상전략에 따른 보상제도 운영
보상 제도의 설계 및 보상 구조 운영 방향성을 조직의 전략적 방향성과 인사 및 보상 전략에 기반을 두고 있음
평가 결과의 반영 측면에서 개인 업적평가와 역량평가의 반영 비율을 인사 방향성 및 전략에 연계하고 있음
조직 성과 연계 인센티브 제도 운영
단순히 개인 업적 또는 개인 성과에 기반한 인센티브 제도 뿐만 아니라, 조직 성과에 연계된 다양한 조직 인센티브 제도를 운영중임

보상제도 Benchmarking

1.
L사
단순한 보상 구조 운영
크게 기본연봉과 인센티브로 구성된 단순한 급여 구조를 가지고 있음 → 직원 이해 및 동기부여 강화
인센티브의 경우 디지털 인센티브와 경영성과급을 운영함
조직 인센티브 운영
조직(사업본부별) 성과를 반영한 조직 인센티브(경영성과급)을 운영함
조직 성과 지표: EVA
2.
P사
(1) 보상체계
(2) 급여 인상율 결정 방식
단순한 보상 구조 운영
L사와 마찬가지로 P사의 경우 (연봉제 대상) 단순화된 급여 구조를 운영하고 있음
기본 연봉의 경우, 개인 업적과 역량평가 반영 비율을 50:50으로 설정하고 있음
조직 인센티브 운영
전사 영업이익을 기준으로 Profit Sharing 성격의 조직성과급 운영
영업이익의 4.5%를 직원에게 분배함
기본연봉
누적식 개인 차등 지급 방식
최저 2.0% ~ 최고 4.0% 차등 (격차 2.0%)
별도의 Base-up Scheme은 없음
평가 등급 부여는 등급 구간별 인원 분포를 기준으로 함
업적연봉
비누적식 개인 차등 지급
과거 정기 상여금에 해당하는 400%의 금액에 대해서는 전직원에게 일괄 지급
이후 개인 업적 평가 결과에 따라 0%~250%로 차등 지급
3.
S사
성과 차등폭 강화
최고 성과와 최저 성과간 기본급 (계약 연봉) 차이가 50% 이상 나타날 정도로 성과에 따른 차등폭을 크게 두고 있음
순수 성과 차등폭 만으로도 직급간 연봉 역전 현상이 발생함
비누적식 기본급 체계
S社의 인사 철학 및 보상 전략에 근거하여, 직원들의 성과에 따른 보상의 동기부여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패자부활’의 개념이 일부 반영된 비누적식 능력가급 체계를 운영하고 있음
4.
S사
(1) 보상체계
보상구조의 단순화
보상구조를 단순화하여 구성원의 급여에 대한 이해도 제고
보상구조를 누적식 기본연봉과 Incentive 및 제수당으로 분리 운영
기본연봉은 기본급과 정기상여, 고정급성 근무수당 포함
업적상여 및 Incentive는 Incentive로 통합
직급간 보상구조의 동일화
부·차장과 과장이하 직위간 급여구조를 통일시켜 보상의 일관성 유지
직위간 급여격차, 직무간 급여격차 유지를 위해서 급여 구조를 통일함
(2) 인상율 결정 방식
Pay Band 내 3단계 Pay Zone을 운영하여 동일 Pay Band 내 급여 운영의 탄력성을 확보하고 있음
(3) EVA기준 PS
Total Incentive재원은 조직 핵심 KPI인 EVA를 기준으로 구성원을 Motivation 할 수 있도록 설정
목표 EVA달성시 IB지급율은 과거수준보다 높게 설정
목표 달성 시 파격적인 보상을 할 수 있도록 중기 Incentive 체계 구축/운영
Yearly IB 지급율을 Total IB 지급율 보다 낮게 설정하여 조직 목표 달성 시 활용할 수 있는 재원 확보
5.
C사
(1) 보상체계
고유의 유연한 기업문화와 장기적 성장 주의, 1등 주의 등의 전략적 방향성에 따라 직원들의 장기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총 보상(Total Compensation) 관점에서의 보상 전략을 운영하고 있음
경영 전략 및 구성원 특성을 반영한 보상 전략 수립/운영
회사의 장기적 성장성에 바탕을 둔 경영전략과 연계되어, 단기 업적보다는 장기적인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둔 보상 전략을 설계하여 운영하고 있음
(2) 보상제도 개선 결과
기존의 복잡한 급여 구조를 기본연봉과 인센티브의 단순화된 급여 구조로 통합하여 직원 동기 부여 강화 효과를 도모
(3) 기본급 체계
기본급 체계 설계/운영
단순화된 급여 구조를 대상으로 기본급 체계를 설계함
Pay Band는 7단계 직무등급을 기준으로 함
이러한 기본급체계는 시장 임금 조사를 기반으로 한 Market Policy Line을 중심으로 함 → 보상의 외적 경쟁력 추구
update 2023.03.13 by Lily Ji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