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생산 직군 역량 사전(Competency Dictionary) Pool (예시적)

직무명
역량명
역량정의
행동지표1
행동지표2
행동지표3
생산기술
의사결정/판단력
체계적 논리와 근거에 따라 요구에 맞는 타당한 결론을 내리는 역량. 객관적인 기준, 구체적인 사례, 잦은 의견 교환과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객관적 자료와 근거를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역량
결정 전에 각 대안의 장점과 단점을 면밀히 검토해 본다
결정의 단기 및 장기적 효과를 모두 고려한다
제한된 정보가 있더라도 합리적인 절차와 경험을 통해 적기에 의사결정을 한다
생산기술
전략적 사고/기획
내/외부 요인을 장기적이고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하는 역량.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는 전략을 확인하고  업무 활동 및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조직화하여 실행하는 역량
최종 결과물에 대한 가능한 한 명확한 그림을 그려본 후 체계적인 계획을 수립한다
조직 전략 방향에 부합되도록 부서/팀/구성원 간의 역학 관계를 바탕으로 업무계획을 조율/조정한다
업무 계획 시 상황 변화나 잠재적 문제점들에 대한 대응방안을 포함한다
생산기술
세밀/정확한 일처리
세세하고 철저하게 개입하여 업무 및 그 결과물을 관리하여 품질수준을 확보하고 정확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역량. 업무 목표를 염두에 두면서 세부사항을 정확하고 치밀하게 처리하는 역량
업무과정 및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관성 있고 철저한 업무 점검을 한다
업무 목표를 염두에 두면서 납기와 품질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 및 자원을 철저히 관리한다
정확성과 관련된 세세한 내용을 매뉴얼화하여 활용한다
생산기술
계획수립/업무조직화
업무활동 및 진행과정을 체계적으로 구분하고 조직화 하여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역량. 업무 활동 및 진행과정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계획하고, 목표 및 결과를 설정하는 역량
주어진 업무목표와 업무활동의 우선순위를 체계적으로 결정한다
과제에 필요한 기간이나 난이도를 정확히 파악한다
정해진 계획과 기준에 따라 개인적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한다
생산관리
세밀/정확한 일처리
세세하고 철저하게 개입하여 업무 및 그 결과물을 관리하여 품질수준을 확보하고 정확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역량. 업무 목표를 염두에 두면서 세부사항을 정확하고 치밀하게 처리하는 역량
업무 과정 및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관성 있고 철저한 업무 점검을 한다
업무 점검을 위한 방법과 절차를 준비한다
업무 목표를 염두에 두면서 납기와 품질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시간 및 자원을 철저히 관리한다
생산관리
문서 의사소통
공식적이거나 비공식적인 문서를 통해서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역량. 정확하고 적절한 문법 및 문장 구성을 사용하여 아이디어, 생각 및 컨셉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문서를 작성하는 역량.
문서 작성의 목적을 잘 이해하고 있다
충분한 자료와 정보를 바탕으로 보고서, 제안서를 작성한다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목표가 명확하고 뚜렷하게 문서에 나타나 있다
생산관리
팀웍/협동
공통의 목표 달성을 위해 타인과 협조하는 역량. 개인적 관심사보다 팀 목표를 우선시하고, 최종 결과에 대한 팀/부서의 공동책임을 상호 이해하고 공유하여 협조하는 역량
업무의 진척상황과 필요한 해결책에 관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한다
어떤 결정을 내리거나 계획을 세울 때 아이디어와 의견을 구하고 수렴한다
동료들이 도움을 요청할 때 기꺼이 도움을 제공한다
생산관리
정보수집/활용
상황 분석, 문제해결,  의사결정 등에 유용한 정보나 의견, 사실 등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수집하는 역량. 수집된 정보나 분석한 결과를 활용방향이나 목적, 정보의 소스나 특징 등으로 분류하여 활용하는 역량
정보의 채널을 구축하여 타 부서나 파트너관계의 구성원들과 수시로 접촉한다
정보의 유용성에 대한 판단 기준을 잘 알고 있다
획득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직원들이 공유하도록 한다
생산
즉각적 대응
당면 과제를 짧은 시간 동안 현장에서 즉시에 처리하고 요구된 결과물을 신속히 산출하는 역량. 돌발적인 상황에 직면했을 때 가능한 대안을 최대한 동원하여 대응하고 단호하고 신속하게 대처하는 역량.
문제발생 시 원인과 대응의 우선순위를 빠르게 파악한다
발생한 문제를 고객, 직원 등 관련자 및 전문가와 즉시 협의하여 대안을 찾아내고 신속히 해결한다
돌발상황에서 현실 가능한 대안을 신속, 순발력 있게 대응한다
생산
의사결정/판단력
체계적 논리와 근거에 따라 요구에 맞는 타당한 결론을 내리는 역량. 객관적인 기준, 구체적인 사례, 잦은 의견 교환과 주의 깊은 관찰을 통해 객관적 자료와 근거를 중심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역량
의사결정시에 필요한 사람을 적시에 개입시켜 대안의 장점과 단점을 면밀히 검토한다
객관적인 정보와 사실에 입각하여 사안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다양한 의견이 제기되었을 때 합리적인 절차와 경험을 통해 정확한 결정을 내리고 행동방안을 제시한다
생산
분석적 사고
타당한 정보를 근거로 논리 정연하게 사고하여 정확하고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는 역량.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핵심 요소, 상호 연관성, 경향성을 파악해 상황판단, 문제해결, 의사결정 등에 활용 하는 역량
어떤 문제나 상황의 서로 다른 측면이나 특성을 비교하여 근본원인을 세밀히 파악한다
자료의 주제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표현한다
분석한 결론의 장단점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시뮬레이션 해본다
생산
창의적 사고
관련성이 적은 개념들 속에서 새롭고 독창적인 연계성을 파악해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역량. 목표 달성을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개념을 적용하여 변화를 시도하거나 창의적인 해결안을 도출하는 역량
계속해서 아이디어를 착안하고 개발하며 제안한다
문제나 상황을 다양한 시각에서 접근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다른 사람이 보기 힘든 혁신적인 방법으로 복잡한 문제를 해결한다
포장기술
세밀/정확한 일처리
세세하고 철저하게 개입하여 업무 및 그 결과물을 관리하여 품질수준을 확보하고 정확하게 업무를 처리하는 역량. 업무 목표를 염두에 두면서 세부사항을 정확하고 치밀하게 처리하는 역량
업무 과정 및 결과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일관성 있고 철저한 업무 점검을 한다
구성원들이 생소한 업무에 처했을 때 정확한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찾아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확성과 관련된 세세한 내용을 매뉴얼화하여 활용한다
포장기술
정직/윤리의식
직업적/개인적 윤리의식을 가지고, 조직의 가치관과 도덕적 판단력에 따라 행동하는 역량. 사람들을 존중하며 공평하게 대하며 신뢰를 쌓는 역량.
윤리적 딜레마가 생길 경우 개인적 이해관계를 떠나 조직과 집단의 가치 기준을 따른다
구체적인 윤리 규범을 설정하고 이를 준수한다
회사의 자산이나 정보를 개인적 목적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포장기술
분석적 사고
타당한 정보를 근거로 논리 정연하게 사고하여 정확하고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는 역량.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핵심 요소, 상호 연관성, 경향성을 파악해 상황판단, 문제해결, 의사결정 등에 활용하는 역량
어떤 문제나 상황의 서로 다른 측면이나 특성을 비교한다
자료의 핵심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구조화한다
다양한 분석기법을 구사하여 문제나 사안의 타당성을 다각도로 검토한다
포장기술
협상
상호간의 상충되는 이해요구를 적절히 타협하여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도록 합의하는 역량.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상호이익이 되는 최적의 대안을 확보하는 역량.
다양한 선택사항을 검토하여 이익과 손해를 분석한다
현재 뿐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전략적인 합의를 이뤄낸다
장기적, 단기적 이익을 시의 적절하게 제시하여 파트너로서의 관계를 유지한다
생산기획
제조 기획력 (Manufacturing Planning)
제조 관련 단기 및 중장기 경영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제조기반(제조설비, 인력, 시스템 등)을 검토하고 기획하는 능력
단기 및 중장기 경영목표를 이해하고 검토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제조가 이뤄지도록 기획한다
제조 기반 (제조설비, 제조 프로세스) 및 제조환경에 대해 폭 넓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합적인 기획안을 작성한다
통계적 자료 등을 활용하여 객관적 논리전개를 하며, 원가분석 등을 통해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판단하여 기획한다
생산기획
생산성분석능력 (Productivity Analysis)
생산성에 중요한 관리항목(원단위, 수율, 손상율, 가동율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계획대비 실적을 분석하여 피드백하는 능력
제조 관련 생산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실행한다
목표 대비 생산실적(작업공수효율, 설비종합효율, 수율, 손상율 등) 등을 분석하여 피드백한다
제조수율, 작업공수효율, 설비종합효율, 재료품 손상률 등 원가연동된 생산관리 항목에 대해 폭 넓게 이해하고, 중점 관리 항목을 지정 운영한다.
생산기획
공장관리능력 (Factory Management)
경영마인드, 생산관리, 원가관리, 조직관리, 업무지식을 바탕으로 공장 관리시스템의 설계,운영, 분석,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능력
제조 공정, 관리제도, 사업전략, 생산성분석 등 제조분야 사업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음
생산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하여 합리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
생산성을 향상하기 위한 제반 관리 시스템의 분석과 개선을 통하여 사업목표를 달성할 수 있음
생산기획
제조인력운영능력 (Employee Management)
인력의 수요를 파악하고 최근의 고용동향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인력수급계획을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인력관리를 하는 능력
사업별 수요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인력수급(종합)계획을 작성함
효율적 인력 관리를 위한 인력  양성 계획을 수립 작성
인력 관련 제약 조건(법적 사항, 작업환경 등)을 이해하고 계획 운영 시 반영
생산기획
제조원가분석능력 (Manufacturing Cost Analysis)
제품 원가 영향인자에 대한 이해와 원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원가를 효율적으로 분석,관리하는 능력
제조원가 산출에 필요한 제품별 제조공정(설비능력, 공수, 재료품 투입 등)을 이해
제조원가 분석 기법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직접 업무에 활용
제품별 ㆍ기간별 원가 비교 산출 등 제조원가 내역을  관련 부서에 피드백하여 개선을 유도
OEM
제조계획운영능력 (Manufacturing Planning)
공정별 투입/산출에 대한 FLOW를 이해하고 제조 및 영업 환경을 반영하여 제품별 계획을 수립하고 제조하는 능력
제품별 ㆍ공정별 생산능력, 인력 현황 등을 이해하고 효율적 일정계획을 수립 운영
제조 및 영업환경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품 단속 방지를 위한 제품별 적정 재고 관리
제조 계획 운영 관련 일정계획수립, 수요예측, 생산능력계획, 자재소요계획 등  지식을 이해하고 적용 운영
OEM
생산계획능력 (Production Planning)
생산성에 중요한 관리항목(제조원가, 수율, 손상률, 가동율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계획대비 실적을 분석하여 피드백하는 능력
제조공정별 제조 관련 생산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관리방법을 실행
제조공정별 목표 대비 생산실적(작업공수효율, 설비종합효율, 제조수율, 손상률 등) 등을 분석하여 피드백
제조수율, 작업공수효율, 설비종합효율, 재료품 손상률  등 원가연동된 생산관리 항목에 대해 폭 넓게 이해하고, 중점 관리 항목을 지정 운영
OEM
설비체제개선능력 (Facility System Improvement)
기계ㆍ프로세스의 원리를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 진단하여 설비 투자 등을 통해 합리화 추진 및 신기술 도입 등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능력
기계 및 프로세스 원리를 공학적 지식 바탕으로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한다
낭비제거, 신기술 및 신설비 도입 등을 통한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한다
설비투자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예산 관련 합리적인 설비투자를 추진  한다
OEM
품질관리능력 (Quality Control)
관련 품질규격, 작업 및 품질표준을 이해하고 적합한 품질관리 목표를 설정하여 실행 관리하는 능력
담당하는 공정 및 제품에 대한 품질규격을 알고 설명할 수 있음
주요클레임 발생원인을 분석하여 재발 방지대책을 수립, 실행하고 지도할 수 있음
품질관리항목별 목표를 설정하고 실적을 분석하여 피드백 할 수 있음
OEM
제조원가분석능력 (Manufacturing Cost Analysis)
제품 원가 영향인자에 대한 이해와 원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원가를 효율적으로 분석,관리하는 능력
제조원가 산출에 필요한 제품별 제조공정(설비능력, 공수, 재료품 투입 등)을 이해
제조원가 분석 기법에 대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직접 업무에 활용
제품별·기간별 원가 비교 산출 등 제조원가 내역을  관련 부서에 피드백하여 개선을 유도
제조물류
자동화설비진단능력 (Automation Facility Diagnosis)
자동화 설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계의 이상유무를 정밀 진단하여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자동화와 관련되는 전기/전자이론 등을 이해함
자동화용 기구류(센서, 전동기 등)의 종류와 기능 및 특성을 이해함
정비 기계의 회로구성, 제어시스템을 알고 설비를 진단할 수 있음
제조물류
원부재료이해력 (Raw Materials Understanding)
원 부재료, 재료품의 종류, 품질특성과 제품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이해와 각 재료와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각종 규격/품질표준을 알고 있음
계절/작업장 조건 등에 따라 보관방법을 달리함
원부재료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보관  /취급함
제조물류
커뮤니케이션 능력 (Communication Skill)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고객의 만조도 재고함
정확하며 논리적인 의사소통을 통하여 효과적 고객대응을 위해 노력함
내외부 고객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경청하여 원활한 소통 및 정보공유
고객 및 내부조직이 쉽게 호응하고 동참할 수 있도록 논리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설득시킬 수 있음
제조물류
재고관리능력 (Inventory Management)
일일 재고현황을 파악하여 원활한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능력
재고의 유형별 재고원인을 파악,분석하여 피드백 조치함
당사에 적합한 독자적인 재고관리기법을 활용하고 있음
분기 별 또는 반기 별 재고를 실사하고 결과를 점검하고 있음
제조물류
신속한 판단 및 상황대처 (Prompt Judgment & Action)
비정형적,돌발적 상황에 직면했을 때 해당 분야의 전문성/경험을 바탕으로 상황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내고, 단호하게 판단하고 신속하게 대처함
문제를 인식하면 바로 행동을 개시하여 당면 문제에 신속하게 대처함
여러 조직이 연계된 문제 발생 시 즉각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 모색 과정을 주도하고 즉시 공동 대응함
업무 진행 도중 문제점 발생이 예상되면 상사에게 보고하고 조치사항에 대한 적절한 지시를 요청함
생산사무
제조계획운영능력 (Manufacturing Planning)
공정별 투입/산출에 대한 FLOW를 이해하고 제조 및 영업 환경을 반영하여 제품별 계획을 수립하고 제조하는 능력
제품별·공정별 생산능력, 인력 현황 등을 이해하고 효율적 일정계획을 수립 운영
제조 및 영업환경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제품 단속 방지를 위한 제품별 적정 재고 관리
제조 계획 운영 관련 일정계획수립, 수요예측, 생산능력계획, 자재소요계획 등  지식을 이해하고 적용 운영
생산사무
설비체제개선능력 (Facility System Improvement)
기계ㆍ프로세스의 원리를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 진단하여 설비 투자 등을 통해 합리화 추진 및 신기술 도입 등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능력
기계 및 프로세스 원리를 공학적 지식 바탕으로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한다
낭비제거, 신기술 및 신설비 도입 등을 통한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한다
설비투자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예산 관련 합리적인 설비투자를 추진  한다
생산사무
품질관리능력 (Quality Control)
관련 품질규격, 작업 및 품질표준을 이해하고 적합한 품질관리 목표를 설정하여 실행 관리하는 능력
담당하는 공정 및 제품에 대한 품질규격을 알고 설명할 수 있음
주요클레임 발생원인을 분석하여 재발 방지대책을 수립, 실행하고 지도할 수 있음
품질관리항목별 목표를 설정하고 실적을 분석하여 피드백 할 수 있음
생산사무
제조인력운영능력 (Employee Management)
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파악하고 공정별 생산성을 감안, 인력의 효율적 배치를 달성하는 능력
사업별 수요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인력수급(종합)계획을 작성함
효율적 인력 관리를 위한 인력  양성 계획을 수립 작성
인력 관련 제약 조건(법적 사항, 작업환경 등)을 이해하고 계획 운영 시 반영
생산사무
공정개선능력 (Process Improvement)
기계ㆍ프로세스의 원리를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 진단하여 설비 합리화 및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능력
낭비제거, 신기술 및 신설비 도입 등을 통한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한다.
제조공정 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습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기계 및 프로세스 원리를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한다
공정연구
연구기획력 (R&D Planning)
과제의 경제적 가치, 관련 기술환경, 과제선정 배경, 목적, 현황 및 문제점, 기대효과 등을 고려한 과제수행계획서를 수립하는 능력
과제의 중요성, 시급성, 개선가능성, 효과성, 필요성 등을 분석하여 의사결정권자를 설득할 수 있는 보고서 작성.
과제관련 일반현황 파악을 위하여 관련부서 관리자 및 현장 기술자, 오퍼레이터와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실시.
단순한 현재공정 개선이 아닌 본래의 목적 달성을 위한 다양한 신기술 적용가능성 검토. 내외부 연구원들과 활발한 정보교류 실시
공정연구
제조공정 이해력 (Manufacturing Process Understanding)
공정의 Layout, 기능과 역할, 구성기계, 한계성능과 사용되는 재료를 이해하며, 품질 기준 등 주요 관리사항을 이해하는 능력
생산공정 및 제품지식에 대해서 전문지식을 보유함
제조공정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
기존의 제조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창의적인 개선안을 제시함
공정연구
공정진단 및 품질개선능력 (Process Audit  & Quality Improvement)
통계적인 품질관리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공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잠재적 불량원인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능력
품질도구의 특성, 종류에 대해 알고 있음
기존의 제품 및 공정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 할 수 있음
제조공정의 잠재적인 품질불량원인을 알고 있음
공정연구
분석적사고 (Analytical Thinking)
문제나 상황의 여러 부분을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관련 Data를 기초로 체계적으로 업무를 처리함
주어진 상황의 복합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분류,정리함
복잡한 상황이나 문제를 여러 각도에서 입체적으로 접근함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논리적 해결방안을 제시함
공정연구
창의성 (Creativity)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문제의식을 갖고 새로운 방법 및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이를 구체화시켜 가치를 창출함
새롭거나 상이한 것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다양한 각도에서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
기존의 업무수행방식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함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제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세부적인 실행 방안을 수립하여 실행력을 높임
시설기획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능력(Project Planning & Management)
프로젝트의 목적 및 현장니즈를 명확하게 파악하고 최적의 Q, C, D 구현을 통하여 목표달성이 가능하도록 기획하는 능력
프로젝트의 목적, 현장니즈, 가용자원 등의 명확화를 위하여 관리자 및 현장부서와 충분한 커뮤니케이션 실시
최적의 Q, C, D를 구현할 수 있도록 사업과 관련된 기술자료 및 업체정보, 핵심성공요인 및 리스크요인 등을 파악하여 정리
의사결정권자의 이해와 승인을 위하여 현황 및 문제점, 대안비교 및 최적대안 도출, 효과분석 등 체계적 보고서 작성
시설기획
시설투자 설계능력 (Facility Investment Planning)
시설투자와 관련하여 소요자재를 산출하고 설계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공사관련 소요자재를 산출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공사계획시 꼼꼼히 검토함
분야별 전문가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전문적, 체계적으로 추진함
공사관련 법규를 해석하고 관련 규제사항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함, 필요시 법률자문 실시
시설기획
커뮤니케이션 능력 (Communication Skill)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말이나 문서로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내/외부의 다른 사람에게 바람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목표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함
현황 및 문제점을 솔직담백하게 전달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상대의 조언 및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강조하여 진지한 커뮤니케이션 유도
이해관계자 및 관련부서와의 정보망 구축을 통해 적극적으로 의견을 경청하고 소통함
시설기획
협상 및 교섭력 (Negotiation)
최적의 조건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상대방을 설득하여 타협점을 이끌어내는 능력
3~5개의 경쟁력있는 업체를 선발하여 강도높은 경쟁을 유도하고, 각각의 장단점 분석을 통하여 협상전략(안)을 수립 후 협상에 임한다.
프로젝트의 목적을 명확하게 이해시키고, 실익이 크지않은 아이템을 과감하게 포기하는 조건으로 효익이 큰 아이템을 제공하도록 협상을 주도한다.
상대가 얻을 수 있는 무형의 효익을 부각시키는 등 상호 win-win 을 위한 타협점을 이끌어내어 합의토록 유도
시설기획
업무추진력 (Ablity to execute)
정확하고 세밀한 업무를 실수 없이 수행하며,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추진일정표에 의거 진도를 체크하며, 미진사항에 대해서는 업체에 즉시 F/B하고 대책을 수립 보고하도록 한다.
업체제시 대안의 실행가능성, 문제점 등에 대하여 제3의 전문가 등과 면밀히 검토후 최적대안을 제시 즉시 추진토록 한다.
나는  업무와  관련된 Key men(부서)와 물적자원(시스템활용)을 잘 알고 있으며, 필요시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공장총무
제도개선능력 (System/Institution Improvement)
조직 구성원 및 각 부문의 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조직 내 각종 제도나 규정을 제정 및 개선할 수 있는 능력
새로운 인사제도를 시행하기 전에 예상되는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충분히 검토하여 문제점을 제시함
제도개선 이후 정기적으로 이행실태를 점검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피드백 함
제도개선을 위해 국내외 선진 기업의 실시사례를 벤치마킹하고 지속적으로 조사함
공장총무
업무조정 및 협상력 (Coordination & Negotiation)
각 소관 사업 및 관련 사업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정, 종합하여 상호 발전적인 방향에서 업무를 추진하는 역량
업무관련부서와의 이해관계를 조정, 협조를 구하고 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
전략적 협조부서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방안을 수립하고 협조를 유도함
조직 전체의 득실과 관련부서의 이점을 파악, 제시하여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함
공장총무
업무지식활용능력 (Task Knowledge & Expertise)
업무 관련 주요 경향, 전략 및 지식,기술을 습득하여 제도 및 프로세스 개선에 응용할 수 있는 역량
자신의 업무 영역과 관련된 새로운 지식, 기술을 습득하고 업무에 활용하며 타인에게 조언할 수 있음
업무관련 의사결정 시 다양한 비즈니스 및 조직 관련 정보들을 활용함
직무 관련 제반 업무프로세스와 기준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음
공장총무
예산운용능력 (Budget Management)
회사가 추구하고 있는 전략적 목표와 비전을 달성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을 효율적으로 배분 및 운용함
집행된 예산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분석하고 최적화된 예산 운용이 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함
회사의 경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신속한 예산지원을 함
분석결과를 피드백하여 발굴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개선함
공장총무
노무관리능력 (Labor Management)
구성원, 노동조합의 요구사항을 수렴하고 협의를 통하여 회사의 정책방향과 정합성을 이루어 상호 공동의 이익을 실현해 가는 능력
원만한 노사관계 구축을 위하여 노무와 관련된 법규를 숙지하고 업무에 적용하도록 설명해 줌
노동조합과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통하여 공동목표와 이익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기적인 노사협의회를 개최하고 논의, 결정된 사항에 대해서 실천함
인사노무관리와 관련하여 애로사항을 수렴하기 위한 간담회, 설명회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설명함
시설관리
시설투자 설계능력 (Facility Investment Planning)
시설투자와 관련하여 소요자재를 산출하고 설계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공사관련 소요자재를 산출하는 방법을 알고 있으며 공사계획시 꼼꼼히 검토함
설계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전문적, 체계적으로 추진함
공사관련 법규를 해석하고 관련 규제사항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함
시설관리
설비체제개선능력 (Facility System Improvement)
제조/지원시설의 신규 시설투자계획에 관련된 생산설비 및 기술을 이해하여 공정해석과 진단을 통해 시설합리화에 관한 제반기술을 적용하여 개선하는 능력
공정을 진단/분석하여 개선될 수 있도록 의사결정권자와 수시로 대화함
기계의 그룹 또는 부품들의 문제점을 규명하여 설계/개선함
기술, 작업순서 또는 방법 등을 진단하여 업무에 적극 활용함
시설관리
기계설비 보전능력 (Machinery Maintenance)
생산 및 지원시설 기계의 노후방지대책과 정비방법 개선으로 수명을 연장하고 생산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관리하여 안정적 운영하는 능력
생산공정과 기계의 운전방법을 이해하고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으며 관련인에게 지도함
정비주기와 부품을 정확히 이해하며 기계이력을 관리함
기계의 문제점이나 설비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시로 보고함
시설관리
환경규제관리능력 (Environment Regulation Management)
수시로 변화하는 환경규제 추세와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관련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운용/관리하는 능력
환경규제, 신기술, 타사설비 등 필요한 환경정보를 분석하여 업무에 적용하여 개선함
용수, 보일러, 전기와 관련한 에너지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고 정기적으로 지도함
환경설비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설비운영사항을 지도함
시설관리
계약관리능력 (Contract Management)
조직목표달성을 위해 활용 가능한 정보 및 지식을 통하여 외부 파트너를 평가, 선정하고 최적의 협의를 도출하여 상호 이익이 되는 내용으로 계약을 체결/유지할 수 있는 역량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계약 상대방에게 요구사항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
계약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계약의 강점/약점을 비교 분석하여 해결대안을 제시할 수 있음
계약을 체결/관리하는 부서를 책임지고 이끌 수 있는 수준의 전문성을 갖고 있음
생산현장
표준품생산능력 (Standard Product Manufacturing)
공정에 대한 이해도, 재료품 성질, 기계운전에 필요한 기계·전기적 지식 등을 바탕으로 작업표준 및 품질표준을 준수하여 표준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
제조 표준을 이해 숙지하고 작업하여 품질에 적합한 제품을 생산하는 능력이 있다
제조 시 기계, 전기 등 가동 이상유무를 수시로 점검하여 조치할 수 있다
3정7S 활동을 생활화하여 기본적인 설비유지와 관리를 할 수 있다
생산현장
공정개선능력 (Process Improvement)
기계·프로세스의 원리를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 진단하여 설비 합리화 및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능력
낭비제거, 신기술 및 신설비 도입 등을 통한 효율 및 생산성을 향상한다.
제조공정 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습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기계 및 프로세스 원리를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이해하고  업무에 적용한다
생산현장
품질개선능력 (Quality Improvement)
품질표준을 이해하고, 품질관리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공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잠재적 불량원인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능력
품질 표준을 이해 숙지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제품 제조에 적용하고 있다
품질 수준을 측정 관리할 수 있다
품질 이상 발생 및 잠재적인 품질불량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수립, 실행할 수 있다
생산현장
생산관리능력 (Manufacturing Management)
생산성에 중요한 관리항목(제조원가, 가동율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계획대비 실적을 분석하여 피드백 및 관리하는 능력
작업공수효율 및 설비종합효율을 이해하고 분석 관리할 수 있다
Input과 Output 관리를 명확히하여 제조수율 및 재료품 손상률을 분석 관리할 수 있다
생산성에 중요한 관리항목의 목표를 설정하고 운영할 수 있다
생산현장
기계설비이해력 (Mechanical Facility Understanding)
기계의 구조 및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사용되는 재료규격과 품질특성을 이해하고  운전 및 정비 매뉴얼을 숙지하여 설명할 수 있는 능력
기계 성능, 구조 및 원리를 이해하고 있음
기계의 정비주기와 해당부위 정비 방법을 이해하고 있음
사용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기계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있음
생산총괄계획
공정프로세스이해력 (Manufactiring Process Understanding)
제조 공정의 Layout, 기능과 역할, 구성 기계, 한계성능과 사용되는 재료를 이해하며, 품질 기준 등 주요 관리사항을 이해하는 능력
기계 성능, 구조 및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음
공정의 설비능력과 제조능력을 설명할 수 있음
공정의 전체적인 Layout과 공정프로세스를 설명할 수 있음
생산총괄계획
기계설비이해력 (Mechanical Facility Understanding)
기계의 구조 및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사용되는 재료규격과 품질특성을 이해하고  운전 및 정비 매뉴얼을 숙지하여 설명할 수 있는 능력
기계 성능, 구조 및 원리를 이해하고 있음
기계의 정비주기와 해당부위 정비 방법을 이해하고 있음
사용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기계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있음
생산총괄계획
설비체제개선능력 (Facility System Improvement)
생산과 관련된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생산설비 및 기술을 이해하여 공정해석과 진단을 통해 경영환경에 따라 시설합리화에 관한 제반 기술을 적용하여 개선하는 능력
공정을 진단/분석하여 개선함
기계의 그룹 또는 부품들의 문제점을 규명하여 설계/개선함
투입/보강된 자본 등에 대해 투자효과를 분석함
생산총괄계획
인력운영능력 (Employee Management)
인력의 수요를 파악하고 최근의 고용동향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인력수급계획을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인력관리를 하는 능력
사업별 수요를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인력수급(종합)계획을 작성함
결원 시 인력을 선발에 있어서 공정한 평가기준을 가지고 있음
비 정규직 업무내용을 파악하고 계약체결에 관한 법적인 사항을 알고 업무에 적용함
생산총괄계획
고객니즈분석력 (Customer Needs Analysis)
내/외부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여 업무 및 시스템에 반영
내/외부 고객에 대한 피드백과 모니터링을 통하여 고객 요구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이를 정책결정에 반영함
변화하는 고객 및 현업의 욕구를 예측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여 업무프로세스를 개선함
문제점 파악 및 개선방안 작성을 위하여 외부 고객 및 내부 관계자들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확인함
설비투자관리
공정프로세스이해력 (Manufactiring Process Understanding)
제조 공정의 Layout, 기능과 역할, 구성 기계, 한계성능과 사용되는 재료를 이해하며, 품질 기준 등 주요 관리사항을 이해하는 능력
기계 성능, 구조 및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음
공정의 설비능력과 제조능력을 설명할 수 있음
공정의 전체적인 Layout과 공정프로세스를 설명할 수 있음
설비투자관리
기계설비이해력 (Mechanical Facility Understanding)
기계의 구조 및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사용되는 재료규격과 품질특성을 이해하고  운전 및 정비 매뉴얼을 숙지하여 설명할 수 있는 능력
기계 성능, 구조 및 원리를 이해하고 있음
기계의 정비주기와 해당부위 정비 방법을 이해하고 있음
사용재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기계와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있음
설비투자관리
설비체제개선능력 (Facility System Improvement)
생산과 관련된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생산설비 및 기술을 이해하여 공정해석과 진단을 통해 경영환경에 따라 시설합리화에 관한 제반 기술을 적용하여 개선하는 능력
공정을 진단/분석하여 개선함
기계의 그룹 또는 부품들의 문제점을 규명하여 설계/개선함
투입/보강된 자본 등에 대해 투자효과를 분석함
설비투자관리
기계설비진단능력 (Facility Diagnois)
기기설비를 이해하고, 기기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 분해조립 및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기기설비를 정밀진단하고 기계의 이상징후를 사전 감지하여 조치하는 능력
기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진단, 예방정비, 보전활동을 통하여 최초의 설비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음
기계공학을 이해하고 기계설비에 적용된 메커니즘을 알고 있음
기계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물리적. 화학적)을 이해하고 대체재를 알고 있음
설비투자관리
정보수집 및 활용 (Information Gathering & Application)
관련업무 및 그 이상의 주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여러 방법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 가능한 정보로 가공/활용함
직무와 관련된 대내외의 고급정보를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음
정보를 분류, 분석하여 업무추진에 적극 활용함
정보에 담겨 있는 의미를 도출하고 유관부서와 협의하여 계획 및 전략 수립에 반영함
배관/공작
기계설비정밀조절능력 (Accurate Machine Control)
기계설비를 이해하고, 기계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분해조립 및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기계설비를 정밀 조정하는 능력
기계고장 및 품질 불량 발생시 기계를 응급 조치하여 복구할 수 있음
정비매뉴얼 또는 지침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조절함
표준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준에 맞도록 기계 및 설비를 정밀 조절할 수 있음
배관/공작
기계설비진단능력 (Facility Diagnois)
기기설비를 이해하고, 기기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 분해조립 및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기기설비를 정밀진단하고 기계의 이상징후를 사전 감지하여 조치하는 능력
기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진단, 예방정비, 보전활동을 통하여 최초의 설비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음
기계공학을 이해하고 기계설비에 적용된 메커니즘을 알고 있음
기계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물리적. 화학적)을 이해하고 대체재를 알고 있음
배관/공작
공조실무지식활용능력 (Air Conditioner Expertise)
공조 기계의 구조 및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공기의 성질을 이해하며 운전 및 정비 매뉴얼을 숙지하여 설명할 수 있는 능력
공기조화기의 성능, 구조 및 원리를 잘 알고 있어서 다른 사람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수준임
공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음
기계의 정비주기와 해당 부위 정비 방법을 잘 알고 주기적인 정비작업을 실시하고 있음
배관/공작
열관리능력 (Heat Control Skill)
열관리 기구의 구조와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열역학 법칙을 이해하며 매뉴얼에 의거하여 에너지를 관리하는 능력
배기가스 입출구 온도를 측정하여 표준 온도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함
에너지 이용 합리화 관련 법규를 이해하고 준수하고 있음
열정산 계산법을 사용하여 연료시간별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음
배관/공작
표준품관리능력 (Standard Product Management)
기계운전에 필요한 기계 / 전기일반 지식, 기계설비이해력 및 안전의식을 바탕으로 작업표준 및 품질 표준을 준수하여 기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능력
설비유지와 관리에 필요한 5행 활동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음
품질의 특성과 품질 표준을 알고 있음
작업표준에 대하여 알고 있음
설비유지보수
기계설비정밀조절능력 (Accurate Machine Control)
기계설비를 이해하고, 기계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분해조립 및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기계설비를 정밀 조정하는 능력
기계고장 및 품질 불량 발생시 기계를 응급 조치하여 복구할 수 있음
정비매뉴얼 또는 지침에 제시된 절차에 따라 조절함
표준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준에 맞도록 기계 및 설비를 정밀 조절할 수 있음
설비유지보수
기계설비진단능력 (Facility Diagnois)
기기설비를 이해하고, 기기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 분해조립 및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기기설비를 정밀진단하고 기계의 이상징후를 사전 감지하여 조치하는 능력
기계 및 설비의 이상유무 진단, 예방정비, 보전활동을 통하여 최초의 설비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음
기계공학을 이해하고 기계설비에 적용된 메커니즘을 알고 있음
기계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특성(물리적. 화학적)을 이해하고 대체재를 알고 있음
설비유지보수
열관리능력 (Heat Control Skill)
열관리 기구의 구조와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열역학 법칙을 이해하며 매뉴얼에 의거하여 에너지를 관리하는 능력
배기가스 입출구 온도를 측정하여 표준 온도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함
에너지 이용 합리화 관련 법규를 이해하고 준수하고 있음
열정산 계산법을 사용하여 연료시간별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음
설비유지보수
공조실무지식활용능력 (Air Conditioner Expertise)
공조 기계의 구조 및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공기의 성질을 이해하며 운전 및 정비 매뉴얼을 숙지하여 설명할 수 있는 능력
공기조화기의 성능, 구조 및 원리를 잘 알고 있어서 다른 사람을 가르쳐 줄 수 있는 수준임
공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기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음
기계의 정비주기와 해당 부위 정비 방법을 잘 알고 주기적인 정비작업을 실시하고 있음
설비유지보수
유공압실무지식활용능력 (Oil Pressuring & Pneumatic Knowledge Expertise)
유, 공압 기구의 구조와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매뉴얼에 의거하여 유, 공압을 관리하는 능력
공압 및 기계이론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음
공장 자동화와 유공압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있음
최신 유공압 기술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음
지원설비관리
시설유지관리능력 (Facilities Management)
시설, 설비와 관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시설물을 관리하는 능력
배관, 열에너지, 전기 등 생산지원분야 지식을 갖추고 있음
시설공사관련 지침을 알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음
시설관련 도면을 해독하고 설계할 수 있음
지원설비관리
산업안전관리능력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기계, 전기등 시설관리에 있어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한 문제 발견 및 예방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능력
시설물 구조에 대한 이해와 시설물 보존관리 지침을 이해하고 실천에 옮기도록 지도함
소방시설, 냉난방시설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조치함
안전사고 예방 기술을 습득하여 예방점검활동을 정례적으로 하고 있음
지원설비관리
설비유지관리능력 (Facilities Maintenance)
통신설비, 기계, 전기 및 자동화 설비에 관한 점검을 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 하는 능력
설비의 효율적인 관리와 사용을 위하여 시설점검 활동을 정례화함
설비 유지, 개선에 관한 월별 계획을 작성하여 결재를 얻어 실행함
안전관리 규정, 설비운전에 관한 표준매뉴얼을 숙지함
지원설비관리
공사관리능력 (Constuction Management)
공사와 관련하여 소요자재를 산출하고 설계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공사관련 소요자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해줌
공사관련 법규를 해석하고 관련 규제사항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함
설계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전문적, 체계적으로 추진함
지원설비관리
전기통신지식활용능력 (Electric/Electronic Communication Expertise)
사옥 전기, 통신 및 전자장비 관련 업무 수행에 필요한 업무 절차,  용어,  현황에 관련된 지식
자신의 업무 영역과 관련된 새로운 지식 및 기술을 지도할 만한 수준임
자신의 전문분야와 관련된 조직 내외부의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을 구하여 비교 분석하여 대안을 만듦
전기, 전자 및 통신 관련 이론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업무수행에 적극 활용하고 있음
시설공사
시설유지관리능력 (Facilities Management)
시설, 설비와 관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시설물을 관리하는 능력
배관, 열에너지, 전기 등 생산지원분야 지식을 갖추고 있음
시설공사관련 지침을 알고 예산을 효율적으로 집행할 수 있음
시설관련 도면을 해독하고 설계할 수 있음
시설공사
산업안전관리능력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기계, 전기등 시설관리에 있어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한 문제 발견 및 예방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능력
시설물 구조에 대한 이해와 시설물 보존관리 지침을 이해하고 실천에 옮기도록 지도함
소방시설, 냉난방시설에 대한 주기적인 점검을 실시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조치함
안전사고 예방 기술을 습득하여 예방점검활동을 정례적으로 하고 있음
시설공사
공사관리능력 (Constuction Management)
공사와 관련하여 소요자재를 산출하고 설계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공사관련 소요자재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해줌
공사관련 법규를 해석하고 관련 규제사항에 대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함
설계전문지식을 활용하여 설계, 발주 및 시공업무를 전문적, 체계적으로 추진함
시설공사
설비유지관리능력 (Facilities Maintenance)
통신설비, 기계, 전기 및 자동화 설비에 관한 점검을 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 하는 능력
설비의 효율적인 관리와 사용을 위하여 시설점검 활동을 정례화함
설비 유지, 개선에 관한 월별 계획을 작성하여 결재를 얻어 실행함
안전관리 규정, 설비운전에 관한 표준매뉴얼을 숙지함
시설공사
계약관리능력 (Contract Management)
조직목표달성을 위해 활용 가능한 정보 및 지식을 통하여 외부 파트너를 평가, 선정하고 최적의 협의를 도출하여 상호 이익이 되는 내용으로 계약을 체결/유지할 수 있는 역량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계약 상대방에게 요구사항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
계약 당사자들의 입장에서 계약의 강점/약점을 비교 분석하여 해결대안을 제시할 수 있음
계약을 체결/관리하는 부서를 책임지고 이끌 수 있는 수준의 전문성을 갖고 있음
-
검사장비운용능력
물체의 물리적, 화학적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측, 계량, 검사, 분석장비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장비기능을 활용하고 보정/유지할 수 있는 능력
-
-
-
-
경영분석능력
대내외 경영환경, 자사 및 관련업체의 경영상태와 관련한 지식,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중장기 업무추진전략 수립에 반영하는 능력
-
-
-
-
공장관리능력
경영마인드, 생산관리, 원가관리, 조직관리, 업무지식을 바탕으로 공장 관리시스템의 설계, 운영, 분석,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하는 능력
-
-
-
-
공정계획및분석능력
공장 및 해당 공정에 투입/산출에 대한 FLOW를 바탕으로 항목별 계획을 수립하고 실적을 분석하는 능력
-
-
-
-
공정프로세스이해력
각 공정의 흐름, Lay Out, 기능과 역할, 구성기계 및 한계성능을 이해하는 능력
-
-
-
-
기계설비이해력
기계의 구조 및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사용되는 재료규격과 품질특성을 이해하고 운전 및 정비 매뉴얼을 숙지하여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
-
-
기계설비정밀조절능력
기계설비를 이해하고, 기계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 분해조립,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기계설비를 정밀조정하는 능력
-
-
-
-
기계설비진단능력
기기설비를 이해하고, 기기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 분해조립,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기기설비를 정밀진단하고 기계의 이상징후를 사전 감지하여 조치하는 능력
-
-
-
-
기술전략기획력
기술분야 경쟁력 제고를 위하여 환경·역량분석과 미래기술 예측을 통해 분야별 추진과제를 도출하여 기술분야 R&D 중장기 전략을 기획·추진하는 능력
-
-
-
-
문서관리능력
업무에 관련된 서류를 체계적으로 점검, 보관, 관리하는 능력
-
-
-
-
물품관리능력
회계/구매/ 물품/자산관리규정을 바탕으로 기계설비의 구조와 부품 및 사업관련물품의 수명주기 및 가격을 알고, 적정재고를 유지하여 효율적인 기계가동 및 관련사업이 진행되도록 관리하는 능력
-
-
-
-
산업안전관리능력
기계, 전기등 시설관리에 있어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한 문제발견 및 예방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능력
-
-
-
-
생산성분석능력
생산성에 중요한 관리항목(원단위, 수율, 손율, 가동율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생산설비의 생산능력과 품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계획대비 실적을 분석하고 피드백하는 능력
-
-
-
-
설비체제개선능력
생산과 관련된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생산설비 및 기술을 이해하여 공정해석과 진단을 통해 경영환경에 따라 시설합리화에 관한 제반기술을 적용하여 개선하는 능력
-
-
-
-
시설유지관리능력
시설, 설비와 관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시설물을 관리하는 능력
-
-
-
-
외국어능력
외국어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 외국인의 의사를 파악하는 능력과 외국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
-
-
-
-
원가분석관리능력
제품 원가 영향인자에 대한 이해와 원가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원가를 효율적으로 분석,관리하는 능력
-
-
-
-
원부재료이해력
원 및 부재료, 재료품, 에너지의 종류 및 품질기준, 특성,제품에 미치는 영향등에 대한 이해 및 숙지, 재료와 기계의상관관계이해, 재료간 조합시 반응 또는 현상에 대한 이해
-
-
-
-
인력운용능력
인력의 수요를 파악하고 최근의 고용동향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인력수급계획을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인력관리를 하는 능력
-
-
-
-
자동화설비정밀조절능력
기계설비를 이해하고, 전기/전자정비와 관련된 공학적 지식,분해조립, 설비보전지식을 바탕으로 자동화설비를 정밀 조정하는 능력
-
-
-
-
자동화설비진단능력
자동화설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계의 이상유무를 정밀진단하여 대처할 수 있는 능력
-
-
-
-
자료분석활용능력
사업과 관련되는 사내외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집/분류/정리/가공분석하여 업무에 활용하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보관하고 공유하는 능력
-
-
-
-
제품분석능력
담배제품의 외관, 물리성, 이화학성, 끽미, 시험기기조작지식을 바탕으로 제품의 특성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평가하여 피드백하는 능력
-
-
-
-
제품설계능력
잎담배, 재료, 향료의 고유한 특성, 끽미변화, 제조공정 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고객이 원하는 브랜드를 가장 경제적으로 설계하고 개발하는 능력
-
-
-
-
제품요구분석능력
고객의 Needs를 수시로 수집하고 효과나 영향을 분석하여 상품화 또는 서비스 개선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
-
-
-
-
지원설비운용능력
사업고유의 제품 생산 공정을 구성하는 기계설비의정상운영을 위해 공기조화시설, 집진시설, 운송장비 등의 지원설비의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매뉴얼에 따라 가동/유지보수할 수 있는 능력
-
-
-
-
컴퓨터활용능력
컴퓨터를 활용하여 문서나 자료를 코딩하고, 데이터를 보관하거나 분석하여 업무에 활용하는 능력
-
-
-
-
통계조사분석능력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의사결정의 근거가 되는 자료를 수집, 조사하여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를 만들어 내는 능력
-
-
-
-
표준지침이해력
조직 내부에 관련된 표준(규정, 규칙, 작업표준, 작업지도서, 매뉴얼) 품질표준을 숙지하고 업무를 처리하는 능력
-
-
-
-
표준품생산능력
기계운전에 필요한 기계/전기일반 지식, 기계설비이해력 및 안전의식을 바탕으로 작업표준 및 품질 표준을 준수하여 표준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
-
-
-
-
품질개선능력
통계적인 품질관리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공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잠재적 불량원인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능력
-
-
-
-
품질경영능력
경영환경 변화를 고려하여 회사에 적합한 품질경영 전략을 수립/실행하여 고객을 만족시키는 품질경영을 전사적으로 추진하는 능력
-
-
-
-
품질관리능력
제조공정과 관련된 제반 품질규격, 작업 및 품질표준을 이해하고 적합한 품질표준관리, 품질관리 항목별 목표를 설정하여 실적을 분석하고 피드백하며 그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
-
-
-
프리젠테이션능력
적절한 시각적, 청각적 수단을 활용하여 자신이 의도하는 바를 상대방에게 전달. 이해시키는 능력
-
-
-
-
현장지도관리능력
라인부서에서 목표 또는 표준에 대한 준수여부를 점검하고평가해서 피드백하고, 표준지침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개선시킬 수 있는 능력
-
-
-
-
협력업체관리능력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며, 협력업체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유지하고 상호이익을 도모하면서 필요한기술지도등을 통해 균일한 품질의 재료품/제품을 확보 또는 제공하는 능력
-
-
-
-
환경관리능력
국,내외 환경규제 추세와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관련시설물을 효율적으로 운용/관리하는 능력
-
-
-
-
회계관리능력
회계관련 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관련업무처리에 필요한 전반적 지식을 바탕으로 예산관리, 구매등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능력
-
-
-
-
공급사 관리능력
공급사 관련 전략 및 표준을 숙지하고 평가 및 관리를 통해 개선하며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개선해 나갈 수 있는 역량
-
-
-
-
공정계획 및 분석능력
해당 공정에 투입/산출에 대한 FLOW를 바탕으로 항목별 계획을 수립하고 실적을 분석하는 능력
-
-
-
-
구매제품지식활용능력
구매 원료와 제품의 특성, 생산과정, R&D 및 시장 동향 등을 이해하는 능력
-
-
-
-
산업안전관리능력
기계, 전기등 시설관리에 있어서 주기적인 점검을 통한 문제 발견 및 예방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능력
-
-
-
-
재고관리능력
일일 재고현황을 파악하여 원활한 수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능력
-
-
-
-
전기통신지식활용능력
전기, 통신 및 전자장비 관련 업무 수행에 필요한 업무 절차,  용어,  현황에 관련된 지식
-
-
-
-
SCM 기획 ( SCM Planning)
수요, 판매, 생산, 재고, 재료에 이르는 SCM 전반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을 바탕으로 SCM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능력
-
-
-
-
공정개선능력 (Process Improvement)
기계ㆍ프로세스의 원리를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 진단하여 설비 합리화 및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능력
-
-
-
-
공정진단 및 품질개선능력 (Process Audit  & Quality Improvement)
통계적인 품질관리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공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잠재적 불량원인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능력
-
-
-
-
기계설비 보전능력 (Machinery Maintenance)
생산 및 지원시설 기계의 노후방지대책과 정비방법 개선으로 수명을 연장하고 생산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관리하여 안정적 운영하는 능력
-
-
-
-
기계설비 이해력 (Mechanical Facility Understanding)
기계의 구조 및 원리, 성능,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사용되는 재료규격과 품질특성을 이해하고  운전 및 정비 매뉴얼을 숙지하여 설명할 수 있는 능력
-
-
-
-
데이터 분석관리 (DATA  Analysis)
업무와 관련된 데이터를 집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피드백 할 수 있는 능력
-
-
-
-
생산관리능력 (Manufacturing Management)
생산성에 중요한 관리항목(제조원가, 가동율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계획대비 실적을 분석하여 피드백 및 관리하는 능력
-
-
-
-
생산성분석능력 (Productivity Analysis)
생산성에 중요한 관리항목(원단위, 수율, 손상율, 가동율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계획대비 실적을 분석하여 피드백하는 능력
-
-
-
-
설비체제개선능력 (Facility System Improvement)
기계ㆍ프로세스의 원리를 공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해석 진단하여 설비 투자 등을 통해 합리화 추진 및 신기술 도입 등 프로세스를 개선하는 능력
-
-
-
-
원부재료이해력 (Raw Materials Understanding)
원 부재료, 재료품의 종류, 품질특성과 제품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이해와 각 재료와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능력
-
-
-
-
자동화설비진단능력 (Automation Facility Diagnosis)
자동화 설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계의 이상유무를 정밀 진단하여 대처할 수 있는 능력
-
-
-
-
제조 기획력 (Manufacturing Planning)
제조 관련 단기 및 중장기 경영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제조기반(제조설비, 인력, 시스템 등)을 검토하고 기획하는 능력
-
-
-
-
제조계획운영능력 (Manufacturing Planning)
공정별 투입/산출에 대한 FLOW를 이해하고 제조 및 영업 환경을 반영하여 제품별 계획을 수립하고 제조하는 능력
-
-
-
-
제조공정 이해력 (Manufacturing Process Understanding)
공정의 Layout, 기능과 역할, 구성기계, 한계성능과 사용되는 재료를 이해하며, 품질 기준 등 주요 관리사항을 이해하는 능력
-
-
-
-
제조원가분석능력 (Manufacturing Cost Analysis)
제품 원가 영향인자에 대한 이해와 원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원가를 효율적으로 분석,관리하는 능력
-
-
-
-
제조인력운영능력 (Employee Management)
인력의 수요를 파악하고 최근의 고용동향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인력수급계획을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인력관리를 하는 능력
-
-
-
-
제품분석능력 (Product  Analysis)
통계적인 품질관리 방법을 적용하여 원료, 재료품, 반제품, 완제품을 시험/분석하거나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
-
-
-
-
표준품생산능력 (Standard Product Manufacturing)
공정에 대한 이해도, 재료품 성질, 기계운전에 필요한 기계ㆍ전기적 지식 등을 바탕으로 작업표준 및 품질표준을 준수하여 표준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
-
-
-
-
품질개선능력 (Quality Improvement)
품질표준을 이해하고, 품질관리 방법을 적용하여 제조공정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잠재적 불량원인을 분석하여 개선하는 능력
-
-
-
-
품질관리능력 (Quality Control)
관련 품질규격, 작업 및 품질표준을 이해하고 적합한 품질관리 목표를 설정하여 실행 관리하는 능력
-
-
-
-
품질리스크 예방 능력 (Quality  Risk  Prevention)
미래의 예상되는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과 대처방안을 수립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는 능력
-
-
-
-
품질시스템관리능력 (Quality Assurance System)
품질시스템 관련 법규 및 절차를 이해하고  제조 및 품질 현장에 적용하여 유지 관리하는 능력
-
-
-
-
품질지향 (Quality Orientation)
제품, 서비스 혹은 업무 프로세스의 고품질을 추구하며 항상 더 나은 품질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과 아이디어를 찾는다.
-
-
-
-
구매선 최적화 능력
원가절감을 위하여 고품질, 저가의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해 줄 수 있는 최적의 국내외 Supplier를 발굴하는 능력
-
-
-
-
상황판단 및 대처능력
업무관련 문제를 규명, 분석, 체계화하여 근본원인을 파악하고 최적의 해결방안을 도출하여 적기에 실행함
-
-
-
-
설비유지관리능력
통신설비, 기계, 전기 및 자동화 설비에 관한 점검을 통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 하는 능력
-
-
-
-
성과목표관리능력
수립된 계획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관리를 하며 달성한 성과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관련 System을 기획, 관리, 운영하는 능력
-
-
-
-
시설유지관리능력
시설, 설비와 관련된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법령을 이해하고 준수하면서 시설물을 관리하는 능력
-
-
-
-
원가분석관리능력
제품 원가 영향인자에 대한 이해와 원가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원가를 효율적으로 분석,관리하는 능력
-
-
-
-
계약목표관리능력
제품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하여 제품생산과 관련한 제반 계약을 체결하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능력
-
-
-
-
목표관리능력
업무 목표달성을 위해 시간 및 인적/물적 자원을 효율적, 효과적으로 계획하고 배치하며 , 현업조직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능력
-
-
-
update 24.09.02. by Se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