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 Audit이란?
•
HR Audit은 조직의 인적자원(HR) 정책, 절차, 관행, 문서, 시스템을 평가하고 개선점을 도출하는 체계적인 과정
•
HR Audit을 통해 HR 기능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조직 목표와의 정렬성을 높이며, 효율성과 효과성 향상 가능
HR Audit 체크리스트
HR Audit 주요 영역
법률 준수(Compliance)
성과관리
•
성과관리 Audit은 조직의 성과 평가 및 관리 체계가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개선 영역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됨
•
특히, 평가 시에는 다양한 오류들이 발생할 수 있어 정확하고 공정한 평가결과 도출을 위해 Audit 프로세스가 중요함
평가 오류 유형 | 주요 내용 | 오류 방지 방안 |
후광 효과
(Halo Effect) | 피평가자의 특정 긍정적 특성이 모든 평가 영역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현상 | 평가 기준 세분화, 항목별 독립적 평가를 위한 지침 제공 |
각인 효과
(Recency Effect) | 평가 직전의 최근 성과/사건이 전체 평가에 과도하게 영향을 미치는 현상 | 평가 기간 전반에 걸친 데이터 수집·검토하도록 평가 프로세스 설계 |
중심화 경향
(Central Tendency) | 모든 피평가자를 평균 점수로 평가하려는 경향 | 평가자 교육을 통해 점수 분포의 적절성 강조, 평가 결과 교정 회의 실시 |
관대화/엄격화 오류
(Leniency/Severity Bias) | 평가자가 지나치게 관대/엄격한 기준을 적용하는 경향 | 평가 기준을 명확히 정의, 평가자 간 일관성 확보 위해 Calibration Meeting 개최 |
유사성 편향
(Similarity Bias) | 평가자가 자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피평가자에게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는 경향 | 평가자 다변화를 통해 편향을 줄이고, 객관적인 평가 도구·프로세스를 활용 |
고정관념 오류(Stereotyping) | 특정 그룹이나 개인에 대한 선입견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 | 평가자 교육을 통해 선입견 최소화, 다면 평가 도입 à 다양한 시각 반영 |
첫인상 효과
(First Impression Bias) | 초기의 첫인상이 평가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 | 평가 데이터 수집 기간을 늘리고, 초반 인상에 의존하지 않도록 정기적 피드백 세션 설계 |
성과관리 Audit 프로세스
update 25.01.17. by Se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