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평가 개념
•
다면평가는 여러 사람(동료·하급자 등)의 평가 의견을 개인 평가 시 반영하여 상사에 의한 일방 평가보다 평가의 신뢰성, 공정성,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입니다.
•
다면평가의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점 | 단점 |
- 피평가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 수집 가능
- 평가과정에 대한 직원들의 commitment 향상
- 평가자의 평가 오류 견제
- 개발 및 육성 포인트 도출 지원 | - 인원이 아주 소규모인 경우 비밀 유지에 대한 구성원의 우려
- 동료평가의 결과를 평가 scoring에 반영할 경우 평가자의 심적 부담 증가
- 평가 결과가 이동 및 승진, 보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경우 동료들 간 관대화 경향 가능성 잠재
- 동료들이 평가할 수 있는 시각의 한계 |
다면평가 도입 시 고려 요인
•
다면평가 도입 시 평가시스템 활용 성숙도, 조직 준비, 시스템 준비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다면평가 운영사례
•
리더에 대한 다양한 그룹의 평가를 토대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리더 개인의 발전을 도모하는 목적으로 다면평가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
전 직원 대상으로 다면평가를 시행하고 있으며, 다면평가의 결과는 역량개발/교육, 인사참고용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
승진/보상에 연계시키는 경우, 공정성/변별력 측면에서 한계가 있어 주로 역량 개발에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다면평가 양식
•
다면평가 양식 및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다면평가 결과 분석
1. 평가결과 분석의 범위
•
개인 단위의 분석을 원칙으로 하며, 개인별 우위역량 및 열위역량의 분석을 기초로, 추가적인 전사평균과의 비교, 직급평균과의 비교를 통해 피드백 할 수 있습니다.
•
역량Set별로 개인이 받은 점수와 전사 평균 및 직급평균을 제시함으로써 상대적 비교 분석을 통해 개인의 뛰어난 역량과 취약한 역량을 피드백 합니다.
2. 분석된 data를 근거로 한 Coaching
•
평가자들이 평가 시 입력한 강, 약점 정도만이 Text로 피드백 되며, 직 상위자가 직접 각 역량항목 별 분석된 data를 토대로 Coaching을 수행합니다. (역량평가 면담 시 함께 이루어짐)
•
다면평가 자체를 보안유지 및 전문적인 Coaching의 목적 등으로 외부 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에는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Coaching Comments가 이루어 집니다.
3. 평가결과 공개의 범위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4.30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