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량관점 적정인력 개념
•
업무량관점 적정인력산정은 직무 또는 조직별 고유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인력을 산정함으로써 업무누수현상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업무운영을 가능케 합니다.
•
직무 운영 관점의 적정인력 산정은 업무 강도(Work Intensity), 핵심업무/고부가가치 업무 집중화(High-Value Concentration), 업무활동과 수행인력의 정합성(Activity-Person Fitness) 및 업무처리 표준화(Activity Standardization)의 네 가지를 고려하여 수행 됩니다.
업무량관점 인력계획 핵심 요소
•
업무량 관점의 인력계획은 네 개의 핵심 요소를 중심으로 수행되며, 각 핵심 요소별 세부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업무량관점의 적정인력 프로세스
•
팀단위 적정인원을 산정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합니다.
1. 조직 별 단위업무 확정
•
팀 내에서 수행하는 모든 업무를 중복이나 빠짐없이, 체계적으로 작성 합니다.
2. 발생빈도 및 소요시간 측정
•
하나하나의 세부업무 별로 발생횟수와 1인당 평균 소요시간을 작성 합니다.
•
하나하나의 세부업무 별로 발생횟수와 1인당 평균 소요시간을 작성 합니다.
3. 조직 별 업무량 산정
•
발생주기와 소요시간을 바탕으로 팀 별 업무량 및 직무 별 업무량을 산출 합니다.
4. 업무량 검증 및 조정
•
도출된 업무량에 대해 다각도의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고 팀별 업무량 및 직무별 업무량을 확정 합니다.
5. 조직 별 적정인원 산정
•
연간 표준업무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확정된 업무량에 대해 조직 별 적정인원을 산정 합니다.
•
팀/파트별, 단위 업무별 업무 소요 시간을 도출하기 위해 해당 회사에서 적용할 표준 업무시간을 도출 합니다.
업무량조사 양식 예시
•
각 직무별 세부과업에 대한 업무량을 조사합니다.
•
개인의 업무영역을 정의하고, 주요활동을 기준으로 발생유형, 발생빈도 및 소요되는 시간을 분석 합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5.09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