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프로세스 개요
•
개인평가 프로세스는 목표설정, 중간점검, 평가 실시, 피드백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프로세스입니다.
평가 시행 프로세스
•
성과평가 프로세스는 평가 준비 및 자기평가, 결과공유 회의, 성과평가, 피드백 및 이의 제기 단계를 포함하여 총 5단계로 구성됩니다.
구분 | 평가준비/ 자기평가 및 정성 평가 | 결과공유회의
| 성과평가 | 결과 피드백 | 이의제기 프로세스 |
목적
| •효과적이고 정확한 성과평가를 위해서 실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객관적 평가 준비
•필요 시 정성(Quality) 평가
•만족도 평가 | • 지표별 평가 결과가 도출된 후 경영진과 팀장 간의 회의를 통해 서로의 의견을 이해, 공유함으로써 최종 평가를 준비하는 단계 | •KPI 결과 및 자기평가 결과와 공유 회의를 통해 도출된 사항을 토대로 최종 성과평가를 실행하는 단계 | •최종평가결과에 대한 경영진과 팀장 간의 상호 의견 교환을 통해 공정하고 투명한 성과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피드백을 제공 하는 단계 | •성과평가가 종료된 후에도 여전히 평가결과에 불복할 경우, 별도의 이의제기 프로세스를 통해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단계 |
주요
산출물
| •KPI 실적 데이터
•자기평가결과 및 근거자료
•정성평가 결과
•만족도평가 결과 | •지표점수(조직평가담당조직
의견 첨부)
•팀장의 의견
•결과공유
회의 보고서 | •최종 성과평가서 (조직평가 및 역량 평가)
•조직별 개선분야 및 방향 | •최종평가등급
•역량평가 피드백 보고서
| •이의제기서
•이의제기 처리결과
|
1.
평가준비/자기평가 및 정성평가
•
평가 준비 및 자기 평가 단계에서는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가의 대상이 되는 팀장이 스스로의 성과에 대해서 1차적으로 평가를 실시하게 됩니다.
구분 | 주요 내용 | 근거 자료 | 산출물 | 일정 |
경영진
| •KPI 실적 검토
•정성평가
•정기적인 성과검토 및 모니터링 결과 요약 | •성과 진척 상황 보고서
•부문별 성과 분석 보고서
| •수치상의 1차적
성과평가 결과
•정성평가 결과
| •성과평가 시작 후 6일 이내 완료
|
팀장 | •KPI별 평가를 위한 자료 준비 및 제출 | •성과 실적 데이터
•성과검토 결과 보고서
•모니터링 결과 | •평가결과에 대한 근거 자료 | •성과평가 시작 후 6일 이내 완료
|
HR팀
| •기초 합의된 목표
| •성과 결과 공유 회의 소집 공문
•보고서 및 평가 포맷
•팀별 평가 결과(토의용) | •성과평가 시작 후 6일 이내 처리
| |
기획팀
| •성과평가 프로세스 기간 준수 Guideline제시
•정성평가(만족도)항목에 대한 평가자/부서 지정 및 평가항목 배분 | •성과평가 기한
| •성과평가 개최 Guideline
| •성과평가 시작 3일전
|
2.
결과공유 회의
•
결과공유 회의 단계에서는 최종 평가에 앞서 경영진과 팀장이 성과결과에 대하여 공유하여 최종 평가가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구분 | 주요 내용 | 근거 자료 | 산출물 | 일정 |
경영진
| •평가 결과를 보고 받고, 이에 대해 논박
•평가 결과 및 KPI 결과에 대한 의견을 피평가 팀과 공유 | •1차평가 결과 | •공유 회의 결과 보고서
| •평가 준비가 종료된 후 즉시 실행
|
팀장 | •KPI 결과를 보고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경영진과 적극적으로 공유 | •결과에 대한 팀의 공식의견
| •N/A
| •평가 준비가 종료된 후 즉시 실행
|
HR팀
| •공유 회의를 주관하고, 양자에 대해 조언자로서의 역할 수행 | •전반적인 평가 지침
| •N/A
| •평가 준비가 종료된 후 즉시 실행
|
기획팀
| •성과평가 Bottleneck 발생시 지원 | •전사 성과 검토 자료
| •성과평가 개최 Guideline
•공유 회의 결과 보고서 | •평가 준비가 종료된 후 즉시 실행 |
3.
성과평가
•
성과평가 단계에서는 경영진이 필요 근거 자료와 결과공유 회의의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여 최종적인 평가를 실시하게 됩니다.
구분 | 주요 내용 | 근거 자료 | 산출물 | 일정 |
경영진
| •KPI 결과, 공유 회의 결과 등을 고려하여 전사지표 및 경영진 평가항목 평가
•피평가 팀의 개선분야 파악 및 해결방향 제시
| •KPI 평가 결과
•공유 회의 결과
| •최종 성과평가서
•팀별 개선분야 및 개선방향 제안
| •공유 회의가 종료된 후 6일 후 완료
|
팀장 | •N/A | •N/A | •N/A | •N/A |
HR팀 | •성과평가 감사 | •성과평가 감사 | •성과평가 감사보고서 | •N/A |
기획팀 | •평가결과 취합
| •N/A
| •성과평가 | •공유 회의가 종료된 후 6일 후 평가 |
d.
결과 피드백
•
결과 피드백 단계에서는 경영진이 팀장에게 최종 평가결과를 통보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을 지적함으로써 성과개선으로 이어지도록 합니다.
구분 | 주요 내용 | 근거 자료 | 산출물 | 일정 |
경영진
| •최종 평가결과, 개선분야 및 제안을 팀장에게 설명
•최종 결과에 대해 승인 | •최종 평가결과
| •평가 승인서
•개선 사항 및 제안
| •평가 완료 후 6일
이내 실시
|
팀장 | •평가결과 및 그 근거 확인
•개선사항 및 제안에 대해 토의 | •N/A
| •N/A
| •N/A
|
HR팀 | •피드백 자료와 평가결과 보관 및 관련 팀 통지 | •N/A | •평가 결과 통보서 | •평가 완료 후 6일
이내 처리 |
기획팀 | •전사 전체 피드백 결과 취합 | •최종 평가결과 수집 | •전사 팀장 평가 결과 | •평가 완료 후 6일 이내 처리 |
e.
이의제기 프로세스
•
이의제기 프로세스는 팀장이 최종결과에 불복할 경우 근거 자료와 함께 성과관리 조직에게 소원 자료를 제출하고, 제기된 이의 내용이 적절할 경우 경영진의 평가에 반영하도록 공정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 입니다.
구분 | 주요 내용 | 근거 자료 | 산출물 | 일정 |
경영진
| •N/A
| •N/A
| •N/A
| •N/A
|
팀장 | •평가결과 불만족 시 성과관리 조직에 소원자료 제출 | •최종 평가결과에 대한 반박 근거
| •소원자료
| •피드백 과정이 종료된 후 1주 내
|
HR팀 | •소원 수리 및 처리 방향 결정
•평가결과가 부적절하다 판단할 경우 이를 평가자의 평가에 반영 | •최종 평가결과 및 결과 도출 근거
| •소원자료 처리결과 보고서
| •소원자료가 이송된 후 즉시 실행
|
기획팀 | •전사의 이의 제기 프로세스 진행
•평가결과가 부적절하다 판단할 경우 이를 평가자의 평가에 반영 | •최종 평가결과 및 결과 도출 근거
| •소원자료 처리결과 보고서
| •소원자료가 이송 된 후 즉시 실행
|
•
평가 결과에 대한 평가자의 오류 등으로 인한 수용성 및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평가결과에 대한 이의제기 프로세스를 운영하며 이의제기 절차에 의하여 실질적인 조정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평가자에 불이익이 적용됩니다.
평가 양식
1.
자기평가서
•
피평가자는 본인의 업무실적을 바탕으로 한 목표 달성도, 본인의 역량수준과 발전사항을 고려하여 본인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합니다.
① 각 단위과제 별 개인의 업무수행 실적 및 달성도와 그에 해당하는 기여도, 달성시기, 잘한 점, 잘못한 점을 상세히 기입
◦
정성지표의 경우, 기 설정된 평가기준(Grid)에 의거하여 목표 달성도를 측정
② 필요 시 추가된 단위과제나 목표수준이 수정된 항목을 기입
◦
정성지표의 경우, 업무의 발생 빈도수 및 추가 발생업무를 기입
◦
추가 업무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재산정하여 기입
③ 피평가자의 직급에 해당하는 역량 별 행동지표에 의거하여 피평가자의 역량 수준 및 판단의 근거가 되는 유사한 업무 관련 행동 사례를 기술
•
피평가자는 역량 개발 계획 대비 성과를 토대로 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서를 작성하며,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b.
상사평가서
•
평가자는 피평가자의 목표수준 대비 업무수행 실적 및 달성도를 토대로 피평가자의 성과를 평가합니다.
① 실적/달성도 : 각 성과지표 별 피평가자의 업무수행 실적 및 달성도를 기입
② 평가등급 : 기 설정된 평가등급 기준에 따라 피평가자의 실적 및 달성도에 해당하는 평가등급을 표기
③ 등급점수 : 해당 평가등급에 따른 등급 별 환산점수를 기입 (등급별 배점: 탁월=100, 우수=90, 보통=80, 미흡=70, 불량=40)
④ 항목점수 : 가중치를 반영한 항목 별 점수를 도출하여 기입 (항목 점수 = 등급점수 X 가중치)
⑤ 판단근거 : 부여 등급에 대한 판단 근거를 기술
⑥ 성과평가 점수 : 항목점수를 합산한 종합점수를 기입하고, 피평가자의 강·약점 등 종합평가의견을 기술
•
평가자는 피평가자에 대한 행동 사례 관찰 결과 등을 토대로 피평가자의 역량을 평가합니다.
① 평가등급 : 기 설정된 역량 별 행동지표에 의거하여 피평가자의 달성수준에 해당하는 역량 평가등급을 표기
② 등급점수 : 해당 평가등급에 따른 등급 별 환산점수를 기입 (등급별 배점: 탁월=100, 우수=90, 보통=80, 미흡=70, 불량=40)
③ 항목점수 : 가중치를 반영한 항목 별 점수를 도출하여 기입 (항목 점수 = 등급점수 X 가중치(20%))
④ 판단근거 : 부여 등급에 대한 판단 근거를 기술
⑤ 역량평가 점수 : 항목점수를 합산한 종합점수를 기입하고, 전체적인 역량 수준 정도에 대하여 피평가자의 우수한 점, 향후 개발이 필요한 점 등 종합평가 의견을 기술
c.
종합 평가서
•
평가자는 성과기록, 중간 면담기록, 피평가자 자기평가서를 근거로 업적에 대한 최종 평가를 실시합니다.
d.
결과 피드백
•
피드백 방법
◦
평가자는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하여 평가결과와 그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의 기록을 중심으로 설명해 주어야 합니다.
◦
부진항목에 대한 원인 파악 및 개선방안을 강구, 피 평가자의 역량확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
피평가자는 목표의 달성을 위해 개선방안을 상호 강구하며, 평가자에 대한 희망사항 등을 요청합니다.
•
작성방법
◦
조언사항과 지원 합의사항 등을 정리하여 평가 Feedback 면담을 실시합니다.
① 우수한 점 : 피평가자의 산출 성과 및 역량 중 우수한 점을 기입
② 향후 개발이 필요한 점 : 피평가자의 업무수행 결과(성과) 및 역량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이 필요한 점을 기입
③ 지원 합의사항 : 피평가자의 성과 향상과 역량 개발을 위한 지원확정 내용을 기술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4.29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