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HR서적ㅣ”두려움 없는 조직”

에이미 에드먼드슨 저
이 책은 조직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는 방법을 고민하는 모든 리더에게 추천할 만한 내용입니다.
침묵의 종류: 조직 내 침묵은 믿음의 침묵과 방어의 침묵으로 나뉩니다. 믿음의 침묵은 조직의 결정을 따르는 것이고, 방어의 침묵은 심리적 안정감이 부족해 입을 닫는 것입니다.
심리적 안정감: 심리적 안정감이 있는 조직에서는 구성원이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직률 감소와 생산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리더의 역할: 리더는 상황적 겸손함과 적극적인 질문을 통해 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해야 합니다. 이는 조직의 팀워크와 심리적 안정감을 높입니다.
실천 방법: 심리적 안정감을 위해 토대 만들기참여 유도하기생산적으로 반응하기의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합니다.

두려움 없는 조직이란 무엇인가?

‘두려움 없는 조직’이란, 심리적 안정감이 높은 조직으로 가장 큰 특징은 상호 신뢰와 존중이 가능한 조직 문화의 핵심 동인으로,
첫째, 업무 관행과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창의적이고 건설적인 아이디어를 제안
둘째,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관행이나 사건, 행동에 대해 직급 구분 없이 자신의 소신을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침묵의 힘은 장기적으로 비극을 불러온다.

최근 기업은 팀 단위의 업무 비중이 늘어나면서 서로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피드백을 주고받느냐가 조직의 운명을 결정한다. 하지만, 조직에서 대다수의 직징인은 문제제기를 했을 때 모욕당하거나 무시, 질책당할까봐 침묵을 유지한다. 침묵의 힘은 문제를 알면서도 묵인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게 되어, 장기적으로는 조직의 성패를 결정하게 된다.

두려움 없는 조직을 만들기 위한 ‘심리적 안정감’ 구축 방법

리더역할
성과
1단계
토대 만들기
업무를 바라보는 프레임 짜기 : ‘개인의 무능 탓→‘시스템’에 관해 논의 목적 강조하기 : 무엇이 중요하고, 문제이며, 누구를 위한 일인지 구분
구성원 간에 조직의 기대치와 의미를 공유할 수 있음
2단계
참여 유도하기
상황적 겸손함 보여주기 : 모르는 부분은 솔직하게 인정하기 적극적으로 질문하기 : 경청하는 문화를 만들고, 긍정적인 질문 하기 ex) 실수나 문제가 있었나요? → 자신이 원하는 만큼의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하였나요? 구조와 절차 만들기 : 비난 없는 보고 등 토론을 위한 지침 제공, 구성원의 제언을 위한 장 만들기
개개인의 목소리가 중시된다는 확신을 얻을 수 있음
3단계
생산적으로 반응하기
가치 인정하기 : 구성원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문제 제기를 인정하고 감사를 표하기 - 실패라는 오명을 제거하기 : 미래 지향적인 태도로 바라보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기, 다음 단계의 작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논의하고 토론하기 규칙 위반 시 제재하기
지속적인 학습을 위해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리더십 자기평가 (Self Check)

Step 1. 토대 만들기
업무를 바라보는 프레임 짜기
업무의 속성을 명확히 정의했는가? 업무의 복잡성과 상호의존성은 어느 정도인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이 존재하는가? 업무의 속성을 얼마나 자주 직원들에게 언급하는가? 업무의 속성에 대한 직원들의 이해 정도를 얼마나 잘 평가하고 있는가?
업무의 속성을 기반으로 직원들의 실수에 올바로 대처했는가? 사소한 실수는 발전과 개선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언급했는가? 새로운 프로젝트를 단번에 성공시키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강조했는가?
목적 강조하기
우리의 업무가 왜 중요한지, 누구를 위해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 분명히 강조했는가?
업무나 산업의 존재 이유가 명확하다고 해도 이에 대해 얼마나 자주 언급하는가?
Step 2. 참여 유도하기
상황적 겸손함 보여주기
리더로서 내가 모든 정답을 알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직원들에게 분명히 인지시켰는가?
우리 모두는 끊임없이 배워야 하는 존재임을 강조했는가? 모든 업무에 겸손하고 호기심 어린 자세로 임해야 한다는 것을 확실히 전달했는가?
적극적으로 질문하기
형식적 반문이 아닌 의미 있고 효과적인 질문을 얼마나 자주 하는가? 혹시 내 생각만 주장하고 있지 않은가? 직원들의 생각과 의견을 얼마나 자주 묻는가?
생각의 폭과 깊이를 확장할 수 있는 질문ㅇ르 하고 있는가?
Step 3. 생산적으로 반응하기
가치 인정하기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면서 내가 듣고 있는 바가 매우 중요한 내용임을 시사했는가?
자신의 생각을 기꺼이 표현해준 상대방의 노력을 인정하며 감사 표시를 했는가?
실패라는 오명을 제거하기
실패라는 오명을 털어내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가? 창조적 실패를 기념하며 축하해주기 위한 방법을 고민해보았는가?
좋지 않은 소식을 보고하는 행위가 긍정적인 경험이 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실패 이후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었는가?
규칙 위반 시 제재하기
비난받아 마땅한 실패와 기념하여 축하할 실패를 명확히 구분하는가? 조직에서 비난받아 마땅한 행위가 무엇인지에 대해 구성원은 알고 있는가?
규칙 위반 행위에 엄격히 대응했는가?
update 2024.09.10 by S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