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법령별 checklist >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점검 시 주요 확인 서류
모집공고, 채용관련 자료
근로계약서, 임금대장, 취업규칙
휴가신청내역, 임금대장
성희롱예방교육 일지 및 참석자 명단
점검 항목 및 근거법령
점검 내용
점검 방법 및 유의사항
조치기준
비고
모집과 채용 차별금지 (제7조)
•모집과 채용에서의 남녀차별 금지 여부
•모집공고, 채용관련 자료 등 확인
•시정명령 (사안 별 즉시or 25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임금 등 차별금지 (제8조1항 및 9조)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지급 여부 •임금 외에 생활보조의 금품 지급, 자금융자 등 복리후생 차별여부
•근로계약서, 임금대장, 취업규칙 확인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다만, 임금 계산상 착오로 인한 체불: 시정기간 25일
교육,배치 및 승진 (제10조)
•교육ㆍ배치 및 승진에서의 남녀차별 여부
•시정기간 25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정년,퇴직 및 해고 (제11조)
•정년ㆍ퇴직 및 해고에서의 남녀차별 여부 •결혼/임신/출산 時 퇴직예정 여부
•근로계약, 취업규칙 등 확인
•상동
직장내 성희롱금지 (제12조)
•직장 내 성희롱 금지 위반여부
•모집공고, 채용관련 자료 등 확인
•즉시 조사 후 과태료 부과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성희롱 예방교육 (제13조 제1,3항)
•성희롱 예방교육 실시 여부 •성희롱 예방교육 내용 상시 게시 여부
•교육 계획서, 교육일지, 참석자 명단 등 확인
•시정기간 25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3년 이내 2회 미만 시 즉시 과태료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성희롱발생시 조치 (제14조)
•사실 확인 조사 여부, 피해자 의사에 반하여 비밀을 누설하였는지 •피해 근로자 근무장소 변경 등 적절한 조치 시행 여부 •가해자 징계 등 조치 여부 •신고 근로자 불이익 조치 여부
•성희롱 발생 및 조치 기록 (징계서, 품의서 등) 확인
•즉시 과태료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시정기간 25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즉시 범죄인지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고객에 의한 성희롱 방지 (제14조의2)
•피해자 근로자 보호조치 시행 여부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 피해 근로자 불이익 조치 여부
•상동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즉시 과태료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제17조의3)
•적극적 고용개선조치 시행계획 제출 여부 •상기 해당 사업장이 고용노동부장관에게 남녀근로자 현황을 제출 혹은 허위 제출 여부
•산업별/규모별 여성근로자 비율 미달時 적극적고용개선조치 시행계획 및 남녀근로자 현황 관리 要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공공기관/공기업 및 300인 이상 사업장 대상 여부 확인 要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이행실적 (제17의4)
•적극적고용개선조치 이행 실적 제출 여부
•상동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출산전후휴가 (제18조)
•출산전후휴가 보험급여 서류 관련 절차 협력 여부
•즉시 시정 (미시정시 과태료)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배우자 출산휴가 (제18조의2)
•배우자 출산휴가 신청 시 20일 휴가 부여 여부 •유급 보장 여부
•휴가신청 내역, 임금대장 확인
•배우자 출산 후 30일 이내의 경우 즉시 시정 (미시정시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난임치료휴가 (제18조의3)
•난임 치료 휴가 부여 여부
•즉시 시정 (미시정시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육아휴직 (제19조)
•육아휴직 신청 시 허용여부 (8세or초2이하자녀/6개월이상 근로자) •육아휴직 근로자 보호규정 준수 여부
•출산휴가, 육아휴가 관리대장, 징계/전보자 명단 등 확인 •연차휴가, 퇴직금산정 기준 적정성 확인 •육아휴직 복귀자 직무내용, 임금대장 등 확인
•위반 규정에 따라, 시정명령 (미시정시 과태료 또는 범죄인지) •해고의 경우 즉시 범죄인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19조의2, 제19조의3)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신청 시 허용 및 근로조건 서면명시 여부 •해당 근로자 보호규정 준수 여부
•대상자 명단, 출근부 등 확인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시정명령 (사안 별 즉시 or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가족돌봄휴직 (제22조의2)
•가족돌봄휴직 신청 시 허용 여부 (6개월 이상 근로자 限) •해당 근로자 보호규정 준수 여부
•시정명령 (사안 별 즉시 or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보고 및 검사 (제31조)
•관계서류 제출 및 검사에 대한 협조 여부
•허위보고/제출, 검사 거부, 방해, 기피 금지
•즉시 시정 (미시정시 과태료)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서류보존 (제33조)
•관련서류를 3년간 보존하지 아니하고 고의로 파기하였는지 여부 •관련서류 3년간 보존여부
•즉시 과태료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update 2024.08.02. by Se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