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관점 적정인력 개념
•
성과관점 적정인력산정은 인력의 생산성 및 효율성의 측정을 통해 적절한 인력규모를 유지함으로써 계속 기업을 유도 합니다.
◦
재무적 관점 또는 거시 적정인원 산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재무적 관점(Finance)의 인력계획은 세 개의 핵심 요소를 고려하여 수행되며, 각 핵심 요소별 세부 활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과 관점의 인력산정 프로세스
•
성과 관점의 적정인력산정은 생산성 지표 정의, Manpower Index 활용법 설정, 생산성 진단 방법 설정 및 거시 인력계획의 단계로 진행 됩니다.
1. 생산성 진단 지표 설정
•
수익(Profit) 관점 지표
◦
인력운영의 생산성을 진단하는 지표는 수익(Profit) 관점과 비용(Cost)관점 및 자본(Capital) 관점의 지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인력운영은 1차적으로 수익성지표를 사용하여 인당 절대 생산성을 측정하고 2차적으로는 도출된 인당 수익성을 기준으로 생산성 증가율을 분석합니다.
•
비용(Cost) 관점 지표
◦
인력운영은 Cost 지표를 통하여 Cost Control의 수준을 측정하며, 이를 통하여 적절한 인건비 수준과 생산성 증가율을 분석 합니다.
◦
인력운영은 매출액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최소화 함으로써 인력운영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자본(Capital) 관점 지표
◦
Capital 지표를 통하여 인당 보유 자본의 수준 및 투하된 총자본으로 창출한 부가가치를 측정함으로써 인당 적정 보유 자본 수준을 결정하여 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습니다.
◦
인력운영은 매출액에서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최소화 함으로써 인력운영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2. Manpower Index 활용법 설정
•
Manpower Index별 인력계획에 따른 변수간 상충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Manpower Index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여 동시에 인력계획을 수행함으로써 단일 인력계획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를 통하여 Manpower Index와 인력과의 직접효과를 측정하여, Manpower Index의 상대적 영향력을 정의하고, 이를 인력운영지수분석법의 가중치(Weights)로 활용 합니다.
◦
인력계획은 인력운영지수분석법을 사용하여 생산성 지표 중 인력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Manpower Index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통하여 변수들의 가중치(Weights)를 다음과 같이 수립 합니다.
3. 생산성 진단 방법 설정
•
생산성 진단 방법
◦
생산성 진단 방법에는 1)Historical Data Analysis와 2)Reference Group Comparison을 활용하며, Scenario Planning을 통하여 1)Historical Trend, 2)Biz-plan Reflection, 3)Sales Elasticity에 따른 목표 생산성을 설정 합니다.
◦
생산성 비교대상 집단은 자사 관련 산업군, 사업성과의 우수성, 사업구조의 유사성에 따라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생산성 목표 설정 방법
◦
생산성 목표 설정 프로세스는 Business Scenario Planning에서 시작하여 변수별 직접효과 모형을 도출하고 Scenario별 재무지표에 대한 목표설정을 하는 단계로 진행 됩니다.
◦
Business Scenario 별 인력계획을 위해 Y년 재무지표의 증감률 예측을 통해 생산성 목표를 설정 합니다.
◦
Y년도 재무지표의 예측을 위해 생산성 변수간의 인과관계 파악을 통한 변수간 효과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재무지표간의 효과와 관련식을 도출합니다.
◦
과학적 분석 결과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간의 영향력에 관한 모형/산식은 다음과 같이 도출 됩니다.
•
매출 탄력성 (Sales Elasticity)
◦
자사의 Y년도 매출액을 예측하기 위하여 공급업체의 매출액에 대하여 자사의 매출액이 반응하는 정도를 분석하는 방법 입니다.
◦
매출 탄력성을 통해 매출액을 예측하기 위한 산식은 자사의 매출액과 국내주요 증권사에서 예측하는 공급업체의 매출액을 통해 설정합니다.
◦
변수간 직접효과 분석에서 도출된 재무지표 예측 산식을 통하여 Sales Elasticity에 따라 Y년도 재무지표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과거 추이 (Historical Trend)
◦
자사의 Y년도 매출액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으로 ARIMA 모형을 사용함 합니다.
◦
변수간 직접효과 분석에서 도출된 재무지표 예측 산식을 통하여 Historical Trend에 따라 Y년도 재무지표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과거 추이 (Biz-plan Reflection)
◦
자사의 Y년도 매출액을 예측하기 위한 모형으로 ARIMA 모형을 사용함 합니다.
◦
변수간 직접효과 분석에서 도출된 재무지표 예측 산식을 통하여 Historical Trend에 따라 Y년도 재무지표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사업계획 반영 (Biz-plan Reflection)
◦
자사는 VISION에 따라 매출 목표 10조원을 달성하기 위하여 ’06년~’09년까지 최근 성장율을 감안하여 비율별로 배분하여 연도별 매출액 목표를 설정합니다.
◦
변수간 직접효과 분석에서 도출된 재무지표 예측 산식을 통하여 Historical Trend에 따라 Y년도 재무지표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변수간 직접효과 분석에서 도출된 재무지표 예측 산식을 통하여 Historical Trend에 따라 Y년도 재무지표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4. 거시 인력 계획
•
거시인력계획 프로세스
◦
거시 인력계획은 MI(Manpower Index) 목표 설정 방법 도출에서 시작하여 MI별 목표를 설정하고 Scenario별 재무지표에 따라 MI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적 인원을 도출하는 단계로 진행 됩니다.
•
Manpower Index 목표 설정 방법
◦
Y년도 MI 목표는 추세나 정률을 반영하여 Y-1년 수준보다 높게 설정합니다.
◦
Y년도 Manpower Index의 증가율 목표를 계산하기 위한 산식과 지표별 산식 선정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Y년 Manpower Index의 증가율 설정을 통하여 Y-1년 대비 생산성 향상을 기합니다.
◦
Y년 Manpower Index의 목표 값 설정을 통하여 Y년의 인력 생산성을 Y-1년보다 강화합니다.
◦
Y년의 생산성 목표 달성을 위하여 Profit Perspectives의 Manpower Index에 대한 인력운영 식을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Y년의 생산성 목표 달성을 위하여 Cost Perspectives와 Capital Perspectives의 Manpower Index에 대한 인력운영 식을 다음과 같이 설정 합니다.
◦
Business Scenario에 따른 Manpower Index별 최적 인원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 됩니다.
◦
Business Scenario별 인력계획 결과 Sales Elasticity에 따른 최적 인원수 는 4,257명, Historical Trend에 따른 최적 인원 수는 4,083명, Biz-plan Reflection에 따른 최적 인원 수는 4,044명이 도출됩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5.21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