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 체계
•
평가는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업적평가 체계와 조직역량 향상을 위한 역량 평가 체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팀장은 팀KPI를 업적평가지표로, 리더십역량지표와 공통역량지표를 평가지표로 설정합니다.
◦
팀원은 팀KPI와 연계된 개인업적지표를 MBO방식으로 적용받으며, 직급에 따라 리더십 역량지표, 공통역량지표, 직무역량지표로 평가 받습니다.
업적 평가 지표
•
업적평가지표는 비전달성을 위해 강조해야 할 전략평가지표(조직성과관리)와 각 개인 직무별 업무내용을 토대로 도출한 업무평가지표(개인성과관리)로 구성됩니다.
1. 조직성과관리
•
•
2. 개인성과관리
•
개인성과관리는 직무수행결과와 관련된 목표(what)인 업적평가 요소와, 직무수행 방법(How)인 역량평가 요소가 있음
•
업적평가 모델은 MBO(Management by Objective) 방식으로 조직구성원가의 참여를 통해 달성해야 할 성과지표와 목표수준에 대해 정의하고 일련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관리하는 기법으로 개인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도구임
목표설정 방식
1. BSC(Balanced Scorecard) 방법론
•
Balanced Scorecard는 기업전략 달성을 위한 네 가지 주요 성과차원 -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그리고 혁신의 차원 - 에 영향을 주는 활동들을 볼 수 있도록 고안된 접근방식으로 단기적 성격의 재무적 목표가치를 달성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관리해야 할 성과관리 대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
BSC를 활용한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2.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 조사 방법론
•
핵심성과지표(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란 업적에 대한 기존의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평가요소를 구체적/계량적으로 측정 가능한 형태로 나타낸 평가지표 입니다.
•
핵심성과지표를 도출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핵심업무 정의 - 핵심성공요인 도출 - KPI 개발 - KPI에 대한 세부사항 정의 - KPI 활용
•
핵심 업무는 업무 프로세스 단계를 세분화 하되 일회성 업무, 단순한 yes/no 형태의 업무, 완결성을 못 가지는 선행 혹은 하위 단위 과제는 제외하여야 합니다.
•
핵심성공요인(CSF: Critical Success Factor)은 해당 핵심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선결 조건을 의미합니다.
•
핵심과업으로부터 성과 창출의 연결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KPI의 공정한 평가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KPI의 다양한 속성을 고려하여 정량, 정성, 준정량적 KPI로 유형을 분류합니다.
3. MBO(Management by Objective) 방식
•
MBO는 개인별 업적 목표를 설정하고 업무추진결과를 목표대비 달성도로 평가하는 제도로서 상위조직 목표와의 연계 및 목표에 대한 합의 도출이 성공의 관건 입니다.
•
하향전개방식에 따라 설정된 팀 목표를 팀원별로 할당하여 팀원별 목표를 수립한 후, 목표공유 회의를 통해 팀 및 팀 동료의 목표를 공유합니다.
•
업적평가(MBO) 항목은 정량적 목표와 정성적 목표로 구분됩니다.
◦
Profic Center : 이익을 직접 창출하는 부서 (모듈, 부품) / Value Center : 이익창출을 간접 지원하는 부서(자재 품질, 경영지원)
•
(참고) 개인 업적평가를 하는 도구는 MBO 외에 단순고과, 조직일체형도 있으며 각 평가방식 및 장단점, 적용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4.29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