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중간점검 프로세스

평가프로세스 개요

개인평가 프로세스는 목표설정, 중간점검, 평가 실시, 피드백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프로세스입니다.

중간 점검 프로세스

중간 점검 단계에서는 설정한 업적 목표 별 추진현황에 대해 평가시점까지 목표달성이 가능하도록 개선점을 도출하고 지도하도록 합니다.
1.
중간점검 면담 자료 준비
평가자는 중간점검 면담을 통해 피평가자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조언합니다.
① 현 수준 : 목표수준 대비 현 진척사항을 기록 (중간점검 시점까지의 성과를 기록)
② 잘된 점/잘못 된 점 : 피평가자의 업무 추진 결과, 현 수준까지의 잘된 점과 잘못된 점을 기입 (초과달성 요인, 계획실천 부진요인, 제약요건 등)
③ 향후 추진 계획 : 목표달성을 위한 향후 추진계획과 필요 시 추가 지원요청사항을 기재
④ 지도 조언 필요사항 : 현 수준과 향후 추진계획의 검토 결과, 목표달성을 위한 평가자의 지도/조언 의견을 기입 (피평가자에 의해 작성된 준비양식을 받아 평가자가 기재)
⑤ 면담 결과 : 면담 후 피평가자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논의한 면담 결과를 기입
⑥ 비고: 필요시 목표수정 사항 기입
⑦ 행동지표와 유사한 행동 사례 기술 : 역량 별 행동지표에 의거하여 피평가자의 유사한 행동 사례를 기술
⑧ 평가자의 수정 의견 : 피평가자가 기술한 행동사례에 대한 평가자의 수정의견
2.
중간 면담 실시
코칭 방법
효과적인 코칭을 통해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평가자는 관리자의 시각을 지양하고, 피평가자를 지도하고 지원하는 “코치”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효과적인 코칭을 통해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도록 지원하기 위해서, 평가자는 관리자의 시각을 지양하고, 피평가자를 지도하고 지원하는 “코치”의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새로운 평가제도에서는 평가 등급을 매기는 작업보다 평가자, 피평가자가 목표 달성을 위해 상호 노력하는 과정이 더 중요 합니다.
기본적으로 코칭은 수시로 시행되며, 평가자와 피평가자 사이의 일상적인 의사소통으로, 평가자와 피평가자는 각자가 수시로 업적 및 역량 목표 수행 정도에 대해 성과를 기록합니다.
작성 방법
평가자는 중간점검 면담을 통해 피평가자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조언합니다.
자료 다운받기
08 성과관리_중간점검프로세스.pdf
981.5KB
update 2024.04.29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