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목표 수립 프로세스

평가프로세스 개요

개인평가 프로세스는 목표설정, 중간점검, 평가 실시, 피드백의 4단계로 이루어지며,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프로세스입니다.

목표 수립 프로세스

목표 수립 프로세스는 전사 목표의 공유,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전사 차원 조율 및 목표 확정, 그리고 추진계획(Action Plan) 수립 등의 4단계로 구성됩니다.
1.
전사목표의 공유
전사 목표의 공유는 경영진의 전사 차원 목표를 전 조직이 이해하고 공유하며, 적절한 본사/공장 - 팀 목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단계 입니다.
구분
주요 내용
근거  자료
산출물
일정
경영진
• 경영전략상의 지향 수준에 입각한 전사적 목표 제시
•전년도 전사 차원 목표 •성과관리조직의 Back-up자료
•전사 차원의 차년도 구체적 KPI와 목표수준
•진행 시작일
팀장
•경영진의 전사 차원 목표를 공유하고 팀 목표로 전환
•전사 차원 목표 •전년도 팀 차원 목표
•전사 차원 목표와 핵심업무에 근거한 팀 별 KPI와 목표수준
•목표제시 후  1주 이내
HR팀
•N/A
•N/A
•N/A
•N/A
기획팀
•각 팀이 전사 차원 목표를 팀 목표로 전환하고 공유하는데 있어 지도 및 조언 제공 •전사차원목표 제시 및 본사/공장별 목표 Guideline제시
•전년도 팀별 목표 및 결과 •전년도 전사 성과 분석 •전년도 본사/공장별 성과 분석
•단위 팀 별 목표에 대한 의견제시 •전사 목표 배분 Guideline
•전체 목표제시 후 1주 이내
2.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KPI 타당성 및 Gap 분석단계는 선일의 전체 목표에 근거한 팀별 목표에 대하여 달성 가능성에 대한 분석과 타당한 팀 목표 수준 및 근거를 도출하는 단계 입니다.
구분
주요 내용
근거  자료
산출물
일정
경영진
•N/A
•N/A
•N/A
•N/A
팀장
•Gap 분석을 통해 타당한 팀 목표와 근거를 도출
•팀별 KPI 목표 •Gap 분석에 사용된 Fact data
•팀별 KPI 설정 목표 •Gap 및 타당성 분석 결과 •분석에 대한 구체적인 논리와 근거
•팀 목표 설정 이후 1주 내
HR팀
•N/A
•N/A
•N/A
•N/A
기획팀
•각 팀의 Gap 분석을 지원하고, 분석의 근거가 되는 자료에 대한 의견 제공 •타당성 검토 프로세스에 기간 준수 Guideline제시
•전사성과관리 기한 •팀 별 KPI에 대한 타당성 및 Gap 분석 결과 •과거 년도 팀 목표에 대한 Gap 분석 자료
•분석결과에 대한 Comment
•팀별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후 0.5주 이내
3.
목표 합의
KPI 타당성 및 Gap 분석단계는 선일의 전체 목표에 근거한 팀별 목표에 대하여 달성 가능성에 대한 분석과 타당한 팀 목표 수준 및 근거를 도출하는 단계 입니다.
구분
주요 내용
근거  자료
산출물
일정
경영진
•팀 목표에 대해 타당성과 근거를 검증하고 최종 목표에 대한 합의를 도출 •담당임원과 팀장이 합의하고 사장 및 부사장은 합의 내용을 확인
•팀별 가설적  목표 •타당성 분석  자료 및 근거
•KPI에 대한 최종적인 전사 목표 및 팀 목표 합의서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후 1주 이내
팀장
•팀별 목표에 대해 타당성과 근거를 검증하고 최종목표에 대한 합의를 도출
•팀별 가설적  목표 •타당성 분석  자료 및 근거
•KPI에 대한 최종적인 팀별 목표 합의서 (담당임원과 팀장이 Co-Sign 형태로 합의)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후 1주 이내
HR팀
•N/A
•N/A
•N/A
•N/A
기획팀
•목표합의 프로세스 기간 준수 Guideline제시 •목표 합의 회의를 위한 제반 준비 및 회의 진행
•전사성과관리 기한 •팀별 가설적  목표 •타당성 분석  자료 및 근거
•합의된 본사 및 공장 목표 취합 •모든 팀의 최종적인 목표 합의서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후 1주 이내
4.
추진계획 수립
추진계획 수립단계에서는 합의된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추진계획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와 승인이 진행 됩니다.
구분
주요 내용
근거  자료
산출물
일정
경영진
•팀 목표에 대해 타당성과 근거를 검증하고 최종 목표에 대한 합의를 도출 •담당임원과 팀장이 합의하고 사장 및 부사장은 합의 내용을 확인
•팀별 가설적  목표 •타당성 분석  자료 및 근거
•KPI에 대한 최종적인 전사 목표 및 팀 목표 합의서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후 1주 이내
팀장
•팀별 목표에 대해 타당성과 근거를 검증하고 최종목표에 대한 합의를 도출
•팀별 가설적  목표 •타당성 분석  자료 및 근거
•KPI에 대한 최종적인 팀별 목표 합의서 (담당임원과 팀장이 Co-Sign 형태로 합의)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후 1주 이내
HR팀
•N/A
•N/A
•N/A
•N/A
기획팀
•목표합의 프로세스 기간 준수 Guideline제시 •목표 합의 회의를 위한 제반 준비 및 회의 진행
•전사성과관리 기한 •팀별 가설적  목표 •타당성 분석  자료 및 근거
•합의된 본사 및 공장 목표 취합 •모든 팀의 최종적인 목표 합의서
•KPI 타당성 및 Gap 분석 후 1주 이내

목표설정 양식

1.
사전 업무 공유회의
체크 리스트
팀장(1차 평가자)은 평가 대상자에게 전사·조직, 실/팀의 당해연도 사업계획을 설명하셔야 합니다.
팀장(1차 평가자)은 평가 대상자에게 전사·조직, 실/팀의 당해연도 평가지표와 목표, 가중치, 평가등급을 제시하셔야 합니다.
업무 연관 부서원란에 팀원의 이름을 모두 적고, 부서 평가지표와 관련된 핵심업무를 수행하는 팀원에 check합니다.
부서 평가지표와 관련 없으나 본연의 수명 업무가 있는 팀원은 해당 업무를 직접 기입합니다.
업무 추진을 위해 실/팀의 지원이 필요한 팀원은 해당 지원요청 사항을 직접 기입합니다.
작성방법
부서 내의 구성원은 목표설정 이전에 사전업무공유회의를 갖고, 전사 및 부서 전략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이 해야 할 일을 파악하고 공유 합니다.
① 부서 평가지표(KPI) : 부서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부서 평가지표(KPI)를 기재
② 부서 목표 : 해당 부서 평가지표가 이번 평가기간 내에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치를 기재
③ 가중치 : 해당 부서 평가지표가 부서 성과 평가 시 차지하는 가중치를 기재
④ 업무 연관 부서원 : 부서 평가지표와 관련된 핵심업무를 수행하는 부서 구성원을 일치시킴
⑤ 부서 평가지표와 직접적 관련은 없으나 목표 설정 시 추가되어야 할 개인의 본연 업무 :
부서 평가지표와 직접적 관련은 없지만 개인의 본연 업무로써 목표를 세워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업무명을 기재
⑥ 지원 요청사항: 업무수행을 위해 부서의 지원이 필요한 지원요청사항을 기재
2.
목표설정서
체크 리스트
평가자는 아래 checklist를 기반으로 평가 대상자의 목표설정서를 검토하고, 확정합니다.
평가자의 확정 이전에 반드시 평가 대상자와의 목표설정면담을 통하여 변경사항과 그 이유를 고지하시기 바랍니다.
작성방법
피평가자는 사전업무공유회의를 통해 파악한 ‘해야 할 일’을 바탕으로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개인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의 달성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기술 합니다.
① 성과지표/단위과제 : 사전업무공유회의에서 개인 별로 분배된 부서 평가지표와 개인의 본연업무 지표를 기입
② 가중치(%) : 과제 별 상대적 중요도와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설정 (전체 가중치의 합 = 100%)
③ 목표수준 : 각 성과지표 별로 목표수준을 기입 - 정량적 지표의 경우 목표 수준 및 각 평가등급 별 판단 기준을 기입 (목표 100% 달성 시 보통 등급으로 설정) - 정성적 지표의 경우에는 정량적 목표 설정 없이 판단기준에 의해 평가하므로, “정성적 지표” 임을 표기
④ 기간 : 해당 업무의 수행 기간을 기입
⑤ 목표설정 근거 : 목표수준의 설정 근거를 기입
⑥ 주요 추진 계획: 목표의 달성을 위한 주요 추진계획을 기재
⑦ 평가대상자 건의사항 : 피평가자의 건의사항을 기입
⑧ 평가자 지원 사항 : 피평가자의 요청 사항에 대한 평가자의 지원 사항을 기입
자료 다운받기
07 성과관리_목표수립프로세스.pdf
1006.2KB
update 2024.04.29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