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대표적 조직문화 진단 설문 항목 : Mckinsey OHI (Organizational Health Index)

Mckinsey OHI 문항

진단 영역 (진단 요소)
문항수
의미
3
조직이 어디로 향하고 있으며, 그곳에 어떻게 갈 것인지 명확히 알고 있는 것
4
조직원들이 행동하도록 독려하거나 유도하는 능력 수준
4
조직이 공유하는 신념, 조직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4
직원 개개인이 자신의 일에 대한 이해와 권한, 책임감을 갖는 정도
4
조직의 성과 및 위험을 평가할 능력, 기회가 왔을 때 이용하는 능력
4
전략을 수행하고 경쟁 우위를 창출하는 데 필요한 조직적 역량
5
직원들이 성과 달성을 위해 보통 이상의 노력을 하게 만드는 열의
4
고객, 공급자, 파트너, 기타 이해관계자들과 맺는 관계의 수준
4
새로운 아이디어의 양과 질, 그리고 필요에 따라 스스로 적용하고 변화할 능력

1. 방향성 (Direction)

(비전공유) 미래가 어떤 모습일 것인가에 대해 설득력 있고 생생한 이미지를 만들어 전달함으로써 방향을 정한다.
(전략의 명료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분명한 방향과 전략을 정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목표로 바꾼다.
(직원들의 참여) 조직의 미래 방향에 대한 논의에 직원들을 참여시키고 그들의 역할에 대해 의논한다.

2. 리더십 (Leadership)

(권위적 리더십) 조직 내의 위계질서와 지위상 권위를 이용하여 일을 진행시킨다.
(상담가적 리더십) 의사소통, 협의, 위임을 통해 직원들을 참여시키고 권한을 부여한다.
(후원가적 리더십) 팀의 화합, 지원과 지지, 직원 복지 등을 중시하여 긍정적인 환경을 만든다.
(도전적 리더십) 직원들이 어려운 도전을 시도하고 스스로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해내도록 독려한다.

3. 문화 및 분위기 (Culture & climate)

(개방적 & 신뢰) 정직, 투명성, 열린 대화를 중시한다.
(건강한 내부 경쟁) 결과와 성취를 강조하고, 성과를 촉진하기 위해 건전한 수준의 내적 경쟁을 유도한다.
(운영상 규율 중시) 행동 및 성과 기준을 분명하게 정하고 그 기준을 지키는지 면밀히 감독한다.
(창의와 혁신) 혁신, 창의성, 솔선하는 자세를 중시한다.

4. 책임소재 (Acocountability)

(역할의 명료화) 분명한 구조, 역할, 책임질 일 등을 명확히 함으로써 책임을 분명히 한다.
(성과 계약) 명확한 목표와 공식적이고 명시적인 성과 목표를 통해 책임을 분명히 한다.
(성과에 따른 결과 관리) 보상과 결과를 개인의 성과와 연결함으로써 책임을 분명히 한다.

5. 조율 및 통제 (Coordination & control)

(주인의식) 강한 주인의식과 개인적 책임을 통해 책임을 분명히 한다.
(성과 평가) 인재풀 관리를 위해 공식적 성과 평가, 피드백, 성과 평가 결과의 변화 추이 분석 등을 활용한다.
(운영상 관리) 운영상의 핵심성과지표, 측정지표, 실행 목표 수준에 집중하여 비즈니스 성과를 모니터하고 관리한다.
(재무적 관리) 재무적 핵심성과지표,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통제에 집중하여 성과를 모니터 하고 관리한다.
(직업적 규범) 분명한 기준, 정책, 규칙을 이용하여 행동의 기대치를 정하고 준수하게 한다.
(위험 관리) 예상되는 위험을 파악하고, 완화시키고,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하면 빠르게 대응한다.

6. 역량 (Capability)

(인재 확보) 적합한 능력을 지닌 직원을 고용한다.
(직원 개발) 직원들의 지식과 스킬을 개발한다.
(프로세스에 기초한 역량) 역량과 노하우를 성문화된 방법과 절차로 만들어 조직에 내재화시킨다. (예: 훈련 매뉴얼, 표준 운영 규정)
(전문 지식/기술 아웃소싱) 역량이 부족한 부분은 외부 인력을 활용한다 (예: 판매업체, 비즈니스 파트너, 컨설턴트)

7. 동기 부여 (Motivation)

(의미 있는 가치) 설득력 있고 개인적으로 의미 있는 가치에 호소하여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영감을 주는 리더) 격려, 지도, 인정 등을 통해 직원들에게 영감을 준다.
(커리어를 발전시킬 기회) 경력을 키우고 발전할 기회를 제공하여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금전적 인센티브) 성과와 관련한 금전적 보상을 이용하여 직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보상과 인정) 비금전적 보상을 제공하고 인정을 해줌으로써 높은 성과를 올리도록 독려한다.

8. 외부 지향성 (External Orientation)

(고객과의 관계) 고객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니즈를 충족시킨다.
(경쟁자와의 관계) 경쟁 업체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여 비즈니스상의 결정을 내리는 데 활용한다.
(비즈니스 파트너십) 외부 비즈니스 파트너들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한다.
(정부와 지역 사회 관계) 정부, 규제 기관, 공공 기관, 지역 공동체 등과 견고한 유대 관계를 맺는다.

9. 혁신 및 학습 (Innovation & learning)

(Top-down 혁신) 고위 리더들이 제시하는 최우선순위 과제들을 통해 혁신과 학습을 추진한다.
(Bottom-up 혁신) 새로운 아이디어나 개선 과제를 개발하는 데 직원들이 참여하도록 독려하고 보상을 제공한다.
(지식 공유) 전사적으로 공동 협력 작업이나 지식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외부 아이디어 포착) 조직 외부에서 아이디어와 우수 경영 관행 등을 도입한다
자료 다운받기
04 조직문화_진단 설문 항목_Mckinsey OHI.pdf
361.0KB
update 2024.06.18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