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산재처리와 공상처리 합의의 차이점

‘업무상 재해’에 해당할 경우 회사는 근로복지공단으로의 근로자의 산업재해보험급여 신청을 돕게 됨 (대위 신청 혹은 근로자 개별 신청에 대해 회사가 공단에 관련 서류 제출) → “산재처리”
실무에서 ①‘업무상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②‘업무상 재해’에 해당하는 경우라도 산재처리 대신 공상처리 합의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차이점은 다음과 같음
산재처리
공상처리
비고
보상 범위
치료비, 휴업급여, 장해급여 등
회사 별 상이 _일반적으로 통상 치료비와 치료기간 동안의 임금보전액을 지급
치료 종결 후 증상 악화로 인해 재요양이 필요한 경우 ⇒ 산재처리 시엔 보장이 가능하나, 공상처리의 경우 추후 보장 어려움
처리 기한
사고 발생 후 3년 이내
없음
회사의 부담
산업재해보상보험에서 지급
회사 자체 재원으로 지급
영향 및 리스크
산재보험요율(개별실적요율) 변경* , 산업안전 근로감독 강화 우려 등
공상처리를 하더라도 근로자의 산재신청은 원칙적으로 가능 → 불확실성 有
재해발생신고 의무
‘업무상 재해’ 中 ‘산업재해’에 해당하는 경우 신고의무(산업재해조사표 제출 의무) 발생
좌동
공상처리를 이유로 재해발생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산업재해 은폐’로 인해 처벌받을 수 있음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산재처리를 하더라도 산재보험요율(개별실적요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
산재처리 시에도 무조건 보험요율이 오르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경우에는 보험요율에 영향을 주지 아니함 (고용보험징수법 시행령 제16조 등) → 즉 다음의 경우는 개별실적요율 결정 시 ‘수지율’ 계산에 포함 X
매년 6월 30일 기준 산재보험 보험관계 성립신고 후 3년이 되지 않은 사업장
상시 근로자 수 30인 미만 사업장
업무상 질병이 산재로 인정된 경우
제3자의 행위에 따른 재해의 경우
천재지변으로 발생한 재해 등으로 인한 경우
통상적인 경로와 방법의 출퇴근 재해가 발생한 경우 등
*(참고) 산재보험요율 계산방법
구분
적용 대상
계산방법
일반실적요율
건설업 외: 근로자수 30인 미만 건설업: 공사금액 60억원 미만
업종별 일반요율 (보수총액 x 보험료율)
개별실적요율
건설업 외: 근로자수 30인 이상 건설업: 공사금액 60억원 이상
업종별 일반요율 ± (해당 사업장의 산재보험 요율 x 수지율*에 의한 증감비율)
*수지율={ (3년간의 산재보상(보험급여)총액) / 3년간의 보험료 총액 } x 100
update 2023.02.20. by lee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