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급 인상 고려 요소
•
기본급 인상을 결정할 때 아래와 같은 내/외적 요소를 고려하여야 하며, 회사의 성과차등의 의지 정도에 따라 각각의 비중을 결정하여야 합니다.
◦
기본급 인상방식 결정 시, 역량/성과 반영 비율 차등여부, 평가에 따른 인상률 차등 여부, 기본급 인상 기준 차별 여부를 고려해야 합니다.
기본급 인상 체계
•
기본급 인상방식은 기본인상, 평가인상, 승진인상이 있습니다.
1. 기본인상(Base-up)과 평가인상(Merit Increase)
•
기본개념
◦
매년 연봉 인상 시 Base-up 인상률을 먼저 적용하여 Pay band를 재설정 한 후, Merit increase를 적용 합니다.
•
결정 절차
◦
Base-up 인상률은 임단협을 통한 임금인상률을 기준으로 결정하며, Merit increase table은 임금인상 재원을 기준으로 설정 합니다.
•
기본 인상 (Base up) 인상률 결정
◦
Base-up은 임단협 결과에 따른 매년 Pay band 조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Pay Band 설정 평가 인상 (Merit Increase)
◦
Merit Increase는 매년 개인평가결과 (개인업적평가와 역량평가) 에 따라 차등 인상하는 보상항목으로 기본급의 평가인상률을 결정합니다.
◦
Merit Increase를 위한 급여 구간 설정은 3등분한 급여구간(Pay Zone)을 설정하여 역량 및 성과의 발휘에 따른 보상 수준 및 전략적 의미를 차별화 할 수 있습니다.
•
Merit Increase Rate 결정
◦
기본연봉 인상률은 전사적인 목표 인상률을 결정하고, 평가등급 분포를 투입하여 기본연봉 인상률표를 산출하고, Merit Increase을 운용하기 위한 Merit Increase Table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작성 됩니다.
◦
기본급 정기인상은 직급 내 개인의 연봉수준을 고려하고 개인성과(역량/업적)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인상율을 결정 합니다.
•
Merit Pay Table 설계 및 예시
◦
Merit Pay Table 설계시 최소 인상율, 기준등급, 기준등급 대비 차등율, 최대인상 차등율을 고려하여 Merit pay 시스템을 설계 합니다.
◦
Merit 인상률은 Pay band내 개인의 역량/성과 수준과 개인의 Band내 보상 위치를 함께 고려하여 결정하며, 직급별 Merit pay table 사례에서 기준등급 6%인상을 기준으로 동일 직급 내 최대·최소 차등폭은 약 0% ~ 13% 입니다.
2. 승진 인상 (Promotion Increase)
•
승진자들은 상위 직급으로의 band 이동에 따라 향후 merit increase 적용을 통한 보상상승의 기회가 증가하게 되며, merit increase 외에 별도 인상률 적용은 하지 않습니다.
•
승진 시 Pay Band 간 이동 시 추가적인 급여 인상 부여 여부에 따라 두 가지 방식으로 분류 됩니다.
•
Promotion Increas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5.29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