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법령별 checklist > 최저임금법

점검 시 주요 확인 서류
근로계약서
임금대장
점검 항목 및 근거법령
점검 내용
점검 방법 및 유의사항
조치기준
비고
최저 임금 준수 (제6조 제1,2항)
•최저 임금 준수 여부 (2024년 시급 9,860원)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임금대장, 출근부 확인 •최저임금 산입범위 유의 •수습근로자의 경우 근로계약서 명시 사항 확인 •포괄임금계약 유의
•즉시 시정 (미시정시 범죄인지) •다만, 3년 이내 최저임금액 미달로 행정지도/범죄인지 경우, 즉시 범죄인지 보고 후 수사에 착수
도급인의 최저임금 연대책임 (제6조 제7항)
•도급인이 책임져야 할 사유로 수급인이 최저임금액 준수하지 못한 경우 도급인의 연대(連帶) 책임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다만, 임금 계산상 착오로 인한 체불: 시정기간 25일
주지 의무 (제11조)
•최저임금액, 산입범위, 적용대상, 효력발생일을 알리고 게시했는지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보고 (제25조)
•고용노동부 장관 요구 시 임금 관련 사항을 보고했는지
•즉시 시정 (미시정시 과태료)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근로감독관 (제26조 제2항)
•근로감독관의 장부, 서류제출 요구, 심문 등에 응하였는지
•상동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update 2024.08.02. by Se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