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관리 설계 Framework
•
승진은 상위 역할 그룹으로의 이동을 의미하며 책임범위의 확대와 역할수준의 상승에 필요한 자질과 능력을 갖춘 직원이 승진할 수 있도록 승진기준과 승진 프로세스를 개선하여야 합니다.
승진심사 프로세스
•
승진 프로세스는 승진 규모 설정, 승진 자격자 추출, 직급별 승진 심사, 승진 확정의 4단계의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1. 승진규모 설정
•
승진 의사결정의 저변에는 적정 인력 수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 합니다.
•
적절한 인력 수준 추정을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Markov Chain Analysis 입니다.
2. 승진 자격자 Pooling
•
승진자격을 갖춘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종합평가를 반영하여 승진 심사를 하되, Level 2 이상 직급으로의 승진은 담당 부서장의 추천서 및 승진후보자의 Structured Questionnaire 답변서에 대한 검토를 통해 승진자를 확정 합니다.
◦
연도별 종합평가등급에 따라 산출된 직급별 승진자격점수를 취득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하여 본부(담당)별 승진심사를 통해 승진자를 확정하도록 합니다.
◦
가감점요소로 영어점수, 포상/징계, 보유 자격증을 활용하되, 종합평가등급 평균 점수와 합산하여 2차 Pooling의 기준으로 활용 합니다.
3. 승진심사
•
Level 1 Manager 및 Level 2 승진 대상자 중 1차 Pooling을 통과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Structured Questionnaire를 통해 후보자의 역량과 자질을 심층적으로 검토 합니다.
•
승진 후보자 추천서 양식 (승진심사위원회, 인사위원 Review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본부 별 승진 심사위원회의 세부 심사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6.10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