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급/호칭 주요 Trend
•
국내 주요기업은 업의 특성, 조직문화를 고려한 직급/직함을 운영 중이며, 직함 적용기준으로 조직내 역할이 강조되고, 기업 별 니즈에 따라 대내외 직함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등의 경향이 있습니다.
직급/호칭 유형별 운영 사례
1. 직군별 직위 운영 사례
•
직군별 직위 분리를 통해 업무 효율성과 조직 내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하며, 유연한 인력 운용과 조직문화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B사도 A사와 마찬가지로 직위를 직군별로 구분함으로써 직원들의 전문 영역에서 깊이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개발 하고 있습니다.
2. 직급/호칭 회귀 사례
•
C사는 기존에 간소화된 호칭을 사용하다가, 연공에 대한 조직문화를 바꾸지 못해 내재화에 실패하여 다시 기존의 호칭으로 회귀한 사례입니다.
3. 직급/호칭 간소화
•
수평적 소통, 창의적 아이디어 활성화를 목적으로 간소화된 직급/직함을 운영하는 기업 사례 입니다.
◦
D사는 수평문화를 위해 설립 초기부터 영어 호칭을 도입해 사용하고 있으며, 직책과 상관없이 동일하게 불리며 조직장들도 동일한 환경에서 업무를 하여 호칭 뿐만 아니라 환경도 수평적으로 조성하였습니다.
◦
직무등급은 직무가치를 반영하고, 호칭은 ‘님’으로 통일한 사례 입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6.10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