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배치 Framework
•
조직 목표 달성에 필요한 인재 육성과 동시에 개인의 경력목표 달성 지원도 가능한 방향으로 이동/배치 제도의 운영체계, 운영 프로세스 및 원칙을 수립 합니다.
이동/배치 원칙
1. 이동/배치 원칙
•
구성원들의 기본적인 육성 목표인 CF 전문가로 육성을 위해 CF 내 이동을 이동/배치의 원칙으로 설정 합니다.
•
경력개발 유형별로 차별적인 이동/배치 원칙이 설정되어야 합니다.
2. 이동유형
•
직원에게 발생 가능한 이동 유형은 CF내 이동, CF간 이동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이동 방법과 기준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CF내 직무 이동
◦
CF내 직무이동 중 SCF 내의 직무변경은 부서장과 직원간의 협의에 의해 이동하며 SCF 간 이동의 경우 Job rotation 프로세스에 의해 이동 합니다.
•
CF간 직무 이동
◦
CF간 이동은 Job posting을 통한 이동 및 조직의 전략적 목적에 의한 이동으로 구분되며 주요 고려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동/배치 방법
1. Job Posting
•
Job posting은 개인에게는 career vision을 제시하고, 조직 내부적으로는 내부 우수인력을 최대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적극적인 활용 및 강화가 필요합니다.
•
Job Posting 대상자 선정을 위한 주요 심사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Job posting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되며, 각 단계별로 인원 요청 부서장, 인사부서, 지원자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2. 전략적 직무순환
•
CF 내 이동을 원칙으로 하나 Level 2 이상의 Leader Talent의 경우 전사적 관점의 통합적 경험 확장 차원의 전략적 직무순환이 가능하며 Level 3 이하의 경우 현장 경험확보를 위한 전략적 직무순환의 활용이 가능합니다.
•
Leader Talent의 경우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통합적인 안목을 지닌 핵심인재의 육성 차원에서 전략적 직무순환을 통해 조직 내 주요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제도화 합니다.
•
General Talent의 경우 폭넓은 직무경험을 통한 전사적 관점의 보유가 요구되는 경우 현재 CF와 관계없이 점포 영업으로의 이동을 전략적으로 실시 합니다.
•
전략적 직무순환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되며, 각 단계별로 현업 부서장, 인사부서, 이동 대상 직원의 역할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6.14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