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개발 Framework
•
회사의 사업전략을 충실히 이행하는 데 필요한 인재의 원활한 수급 Needs와 구성원의 경력 Vision 달성 Needs간의 최적점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Talent Portfolio, Career Field 체계 등의 HR Platform의 기반 하에 채용, 이동/배치, 승진, 교육에 이르는 Total Life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합니다.
•
경력개발제도는 타 인사제도와 연계하여 활용 할 수 있습니다.
•
CDP 도입을 위해서는 CDP 기반 체계로서 Career Track, Competency Model과 운영 체계로서 Individual Development Plan, 교육훈련 프로그램 등의 체계 구축이 필요 합니다.
◦
CDP 기반체계 중 Career Track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Career Track 설계 프로세스
•
Career Track은 Career 이동 가능 경로도와 Path로 설계 됩니다.
1. 직무간 역량 유사성 분석
•
직무 전문 역량을 Code화 시킨 후 각 해당 직무에 배열하여 직무간 역량 Matching Percentage를 도출 합니다.
2. 직무 간 이동 Benefit 분석
•
해당 직무의 선-후행 이동 Benefit을 조사한 후 직무간 이동 Benefit 수준을 분석합니다.
3. Career 이동 가능 경로도 설계 기준
•
직무간 역량의 유사성, 이동 Benefit 및 벤치마킹 데이터를 기초로 Career Map 설계 기준을 아래와 같이 구성 합니다.
•
Career 이동 가능 경로도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4. Career Path 설계
•
각 직급 단계 별 요구되는 역할 및 경력 단계를 반영하여 Career Path 단계를 설정합니다.
•
Career Vision이 기획예산 Expert (Target 전문가)일 경우에 해당되는 Career Path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Career Track 운영 예시
1. 경력개발 Track 유형
•
경력목표에 따른 각 경력개발 Track의 전체 Image 및 개별 경력개발 Track의 운영원칙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Specialist Track은 관리자 또는 전문가로서의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이중 경력 경로를 설정합니다.
2. 경력성장모형
•
경력성장모형의 유형은 전문형 육성모형과 순환형 육성모형으로 나뉘며, 조직 특성 및 방향성에 맞춰 설정합니다.
3. Career Track 운영 예시
•
A사 인력 유형은 Leader, Manager, Professional, Specialist로 구분됩니다.
•
Career Track의 전환 원칙 및 운영 모델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6.14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