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조직 (HR)
home

법령별 checklist >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점검 시 주요 확인 서류
퇴직연금규약
퇴직급여제도에 관한 근로자 대표 동의서(제도도입, 변경 등 관련)
퇴직연금제도 가입자의 교육 실시 관련 서류
점검 항목 및 근거법령
점검 내용
점검 방법 및 유의사항
조치기준
비고
퇴직급여제도 (제4조, 25조)
•사업장 내 퇴직급여제도 차등 설정여부 •퇴직급여제도 또는 개인형퇴직연금제도 설정·변경시 근로자 대표 또는 개별근로자의 동의 또는 의견청취 여부
•취업규칙, 변경 동의서 등 확인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퇴직연금규약 (제13조, 19조)
•퇴직연금규약 신고여부
•퇴직연금규약 및 신고접수증 확인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퇴직금의 지급 (제9조)
•14일 이내에 퇴직금을 지급여부
•퇴직자 명부 및 퇴직연금 지급 내역 확인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반의사불벌) •다만, 임금 계산상 착오로 인한 체불: 시정기간 25일
퇴직급여 미지급 (제17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의 퇴직급여 지급 여부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반의사불벌) •다만, 임금 계산상 착오로 인한 체불: 시정기간 25일
부담금 등 미납 (제20조5항, 25조3항)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 부담금 및 지연이자 납부 여부 •개인형 퇴직연금제도 가입자의 부담금 및 지연이자 납부 여부
•시정기간 14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반의사불벌) •다만, 임금 계산상 착오로 인한 체불: 시정기간 25일
교육실시 여부 (제32조2항)
•퇴직연금제도를 설정한 경우 매년 1회 이상 가입자에게 퇴직연금제도 운영상황 등의 교육 실시 여부
•시정기간 25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개인형퇴직연금제도는 제외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사용자 책무 (제32조3항)
•사용자가 자기 또는 제3자의 이익을 도모할 목적으로 운용·자산관리 계약을 체결하였는지 •퇴직급여가 감소 가능성에 대한 고지 및 퇴직급여 감소 예방을 위한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관련 자료의 고의누락 및 거짓작성, 특별한 이익의 제공 등
•시정기간 25일 이내 (미시정시 범죄인지) •시정기간 25일 이내 (미시정시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사용자 감독 (제35조)
•해당 법규 또는 퇴직연금규약에 위반되는 행위 및 이에 대한 시정명령 불이행
•시정기간 25일 이내 (미시정시 운영 중단)
금융거래정보 (제37조6항)
•금융거래정보를 제공받아 알게 된 자가 그 정보를 타인에게 제공 또는 누설하거나 그 목적 외의 용도로 이용하였는지
•즉시 범죄인지
update 2024.08.02. by Seoyo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