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상제도 설계시 고려 요인
Pay Structure를 보상요소 별 효과, 경영전략, 직원들의 니즈 등을 반영하여 비용대비 효과적 보상구조가 될 수 있도록 새로운 보상구조를 설계 합니다.
기본급 설계 프로세스
•
기본급은 보상정책선의 설계, Spread Range의 결정, Band의 구성요소 결정, Outlier 관리방안 도출로 나누어 설계할 수 있습니다.
1. 보상정책선 결정
•
보상 정책선은 직원 급여수준의 Market 대비 보상 경쟁력을 의미하며, Pay Band 설정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야 합니다.
•
시장임금조사는 기본급(Base Pay) 설계 시 필수 작업으로서 회사 급여수준의 시장 내 위치를 확인하고 경쟁력 있는 목표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시장임금조사 분석결과는 향후 급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Target 임금수준의 결정에 사용 됩니다.
2. Range Spread 결정
•
직급별 기본급의 Reference point를 정하고 현 기본급 범위 및 Pay band 간 중첩률을 고려하여 Range spread를 설계 합니다.
◦
조직 내 역할발달단계를 의미하는 직급 단계를 고려하여, Pay Band 구성 및 각 Band 별 Range를 설정 합니다.
•
Range Spread는 직급별 승진기준연한에 따른 기본급 상승 범위 및 Pay band 간의 중첩률을 고려하여 직급별로 차등 설정 합니다.
3. Pay Band의 구성 요소 결정
•
Pay band의 필요성 및 기본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Pay Band 시스템은 개인별로 성과 및 역량에 따라 차등을 가능하게 하며, 향후 필요 시 시장 보상과 개인 연봉수준의 연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Pay band 설계는 회사의 정책 및 현실에 따라서 아래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모든 요소들이 유기적인 관계를 가지고 설계되어야 합니다.
◦
Midpoint 개념 및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Range Spread 산출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Range Spread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Band의 Overlap 비율 조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급여구간 설정은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기본급 인상방안(merit pay system)은 개인의 평가결과에 따라 인상율을 차등하게 되며, 급여 구간 내에서의 위치에 따라서도 인상율이 차등 적용 됩니다.
4. Outlier 관리 방안 도출
•
Pay band 밖에 위치한 직원들의 경우 체계적인 band 관리를 위해 별도의 관리가 필요합니다.
•
동종업계 경쟁사에 대한 Compensation survey를 정례화하고 평균인상률 책정 및 보상정책 수립의 참고자료로 활용 합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5.28 by Sora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