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의 필요성
조직의 지속적인 가치 창출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성과 향상이 중요한 요인이며, 성과 향상을 위한 피드백과 보상 등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는 객관적인 평가 tool이 필요합니다.
평가는 구성원들의 성과 창출을 위한 tool로써, 성과의 판단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평가의 목표
조직의 경영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성과관리 지표 및 프로세스가 각 단계별로 명확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인사제도와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가의 목표는 조직의 경영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평가 프로세스
앞에서 살펴본 프로세스별 세부 방법 및 내용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며, 평가 설계시 가장 중요한 것은 지표 개발이 중요합니다 .
평가 설계 시 기본이자 주요 성공요인은 지표(KPI) 도출 입니다.
1.
성과관리 지표 개발
•
일반적으로 전사 및 사업부/부문 단위의 중점 추진과제 및 KPI는 하위 팀 및 개인으로까지 연계(Cascading) 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KPI(Key Performance Indicators) 도출 방식은 Top to the Bottom과 Bottom to the Top 방식을 활용합니다.
◦
Top to the Bottom 방식은 사업전략 및 목표로부터 연계되어 상위조직에서 개인까지 연계되는 방식입니다.
◦
Bottom to the Top 방식은 팀별 핵심업무에 따른 핵심성공요인(CSF)을 도출하고 KPI 후보군 도출 및 확정하는 방식입니다.
◦
핵심성과지표(KPI)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2.
목표 수립
•
개인의 목표는 조직(팀) 목표와 연계되어야 하며, 평가자와 피평가자 간의 충분한 합의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수립되어야 합니다.
3.
성과 검토
•
업적 및 역량 중간 면담을 통해 계획 대비 진척도 등을 점검하고, 목표달성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방안을 강구합니다.
4.
성과 평가
•
평가의 절차는 자기평가, 평가준비 및 평가실시의 3단계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사실에 근거한 평가가 요구됩니다.
•
업적 및 역량 중간 면담을 통해 계획 대비 진척도 등을 점검하고, 목표달성에 장애가 되는 요인을 제거하는 방안을 강구합니다.
기대효과
평가결과를 인사제도와 연계시켜 동기부여 효과 제고 및 성과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과정으로 조직의 성과를 극대화 합니다.
•
업적평가 결과는 변동성과급에 연계, 역량평가는 교육을 통한 역량의 개발, 종합평가결과는 기본급의 인상과 동시에 승진 후보자 선정에 반영함으로써 평가를 통한 동기 부여 효과를 제고합니다.
자료 다운받기
update 2024.04.28 by Sora Kim